닫기

글로벌이코노믹

中 주력 LFP 배터리 비중 50% 육박…삼원계 바짝 추격

공유
1

中 주력 LFP 배터리 비중 50% 육박…삼원계 바짝 추격

지난해 LFP 배터리 비중 46.6%
2019년과 비교해 41.5% 늘어나
삼원계 90%대에서 50%로 감소

CATL이 공개한 신형 배터리 제품 션싱. 사진=CATL이미지 확대보기
CATL이 공개한 신형 배터리 제품 션싱. 사진=CATL
전 세계 전기차용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업체들이 주력하고 있는 리튬인산철(LFP) 배터리 비중이 커지고 있다. 반면 국내 업체가 주력으로 삼고 있는 니켈코발트망간(NCM),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등 삼원계 배터리의 비중은 떨어지고 있다.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저가형 전기차에 삼원계보다 제품 가격이 저렴한 LFP 배터리 채용이 늘어난 것이 이유로 꼽힌다.

16일 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간한 '이차전지 수출 변동 요인과 향후 전개 방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서 LFP가 차지하는 비중은 46.6%로 집계됐다. 1년 전인 2022년보다는 5.55%포인트(p), 2019년보다는 41.5%p 증가했다. LFP 배터리의 경우 현재 CATL, BYD 등 중국 업체들이 거의 독점으로 생산하고 있다. 그래서 LFP 비중이 늘어나는 것은 중국 업체들의 영향력이 높아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면 국내 배터리 셀 제조업체가 주력해온 NCM·NCA 등 삼원계 배터리 비중은 떨어지고 있다. 2019년 94.4%에 달했던 삼원계 배터리 비중은 2021년 72.4%, 2022년 59.1%, 2023년 53.6%로 하락했다. 4년 전만 하더라도 판매되는 대부분 전기차에 삼원계 배터리가 들어갔다면 이제는 약 2대 중 1대에 탑재된다는 것이다.

이는 배터리 업체들의 고객사인 완성차 업체가, 수요가 많아지고 있는 저가형 전기차에 집중함에 따라 가격이 저렴한 LFP 배터리 사용을 늘리고 있어서다. 현대차그룹을 비롯해 테슬라, 폭스바겐, 메르세데스-벤츠, 스텔란티스 등 주요 완성차 업체들은 자사 전기차에 이미 LFP 배터리를 탑재했거나 할 예정이다.

업계는 LFP의 경우 성능은 떨어지지만 가격적인 장점이 있어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최근 전기차 시장은 성능보다 가격이 우선시되고 있다"며 "LFP 시장이 더 커질지는 지켜봐야겠지만 전기차 대중화에 있어 범용 제품의 영향력은 크다. 수요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