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재집권 시 전기차 정책 후퇴 불가피
내연기관 중심 업체 부흥 예상
내연기관 중심 업체 부흥 예상

2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8일(현지시각) 미국 위스콘신주 밀워키에서 열린 공화당 전당대회 대선 후보 수락 연설에서 "취임 첫날 전기차 의무를 폐기하겠다"며 전기차로 전환하겠다는 조 바이든 행정부의 목표를 취소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트럼프 후보의 러닝메이트이자 부통령 후보인 J. D. 밴스 오하이오주 상원의원도 전기차 보조금 폐지와 내연기관 세액공제 등의 '드라이브 아메리칸 법(Drive American Act)'을 발의했다. 트럼프의 경제 책사로 불리는 피터 나바로 전 백악관 무역정책국장 역시 바이든 행정부의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등 전기차 정책에 부정적이다.
이에 트럼프 후보가 정권을 잡으면 완성차 업계의 전기차 전환 전략 변화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 전기차 전환에 난항을 겪던 업체들에는 시간적인 여유가 생겼다. 특히 토요타와 독일의 메르세데스-벤츠, BMW그룹, 폭스바겐그룹 등의 경우 시간적인 여유가 생겼다. 완성차 최대 시장으로 불리는 미국 시장에 판로가 생기며 경영 악화에도 숨통이 트일 전망이다.
업계는 전기차 시장 성장 둔화에 정책 변화까지 발생하면 상당수 업체의 전기차 전략이 후퇴할 것으로 내다봤다. 미국 전기차 판매 성장세는 2022년 68%에서 2023년 22%로 둔화했다. 올해 상반기 전기차 판매량은 약 60만 대로 1년 전 55만여 대보다 약 7% 증가하는 데 그쳤다. 트럼프가 정권을 잡으면 전기차 시장의 역성장 가능성도 전망된다.
이 밖에도 해외 생산 차량에 대한 관세 부과로 미국 내 생산 압박도 거세질 우려가 커졌다. 다만 이 문제는 미국 생산 공장을 통해 완성차 업계의 대응이 가능하므로 큰 문제는 아니라는 게 업계 중론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트럼프 정부의 출범에 따른 정책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지며 이에 대한 대응책 마련이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