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강득구 의원·환경단체 "영풍 석포제련소, 환경 안중에 없어…폐쇄해야"

글로벌이코노믹

강득구 의원·환경단체 "영풍 석포제련소, 환경 안중에 없어…폐쇄해야"

석포제련소 58일 조업 정지 돌입
시민단체 "조업 정지 아닌 폐쇄해야"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양 만안)이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강득구 의원 의원실이미지 확대보기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양 만안)이 26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강득구 의원 의원실
석포제련소가 임시 조업정지에 돌입한 가운데 시민단체가 영구 폐쇄를 촉구했다. 시민단체는 불법과 범죄행위를 일삼아 온 영풍이 석포제련소의 환경 파괴를 방관하고 있다며 정부와 정치권의 책임있는 행동을 요구했다.

26일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영풍석포제련소 조업정지 집행에 따른 기자회견'이 진행됐다. 행사엔 강득구 더불어민주당 의원(안양 만안)과 영풍제련소 주변 환경오염 및 주민건강공동대책위원회, 환경운동연합,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가 참석했다.

강 의원은 기자회견에서 "환경부는영풍 석포제련소에 대한 통합환경허가를 취소하고 폐쇄, 이전, 복원과 주민 생계, 주민건강대책을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라"고 촉구했다.

강 의원은 "계속되는 환경오염, 반복되는 산업재해로 죽음의 제련소라 불리는 석포제련소가 또다시 환경법을 위반해 조업정지에 들어갔다"며 "영풍 석포제련소는 지난 10여년 동안 120여건의 환경법령 위반사항이 적발됐고 90차례가 넘는 행정처분을 받았음에도 폐수를 무단으로 방출하는 등의 불법 조업을 이어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강 의원은 "석포제련소는 낙동강 최상류에 위치해 낙동강의 '핵심오염원'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기 때문에 더는 주민의 건강을 위협하는 공장을 그대로 내버려둬서는 안 된다"며 "낙동강을 식수원으로 삼는 영남 주민과 노동자들을 위해 국회와 정부, 지방자치단체가 지혜를 모아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해 10월 강의원은 국회 환경노동위 국정감사에서 증인으로 출석한 장형진 영풍 고문을 상대로 석포제련소 문제를 질의했으나 그룹의 실질 오너로 알려진 장 고문은 당시 책임 있는 답변이 아닌 문제를 회피하기에 급급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석포제련소는 올해까지 100여개의 환경개선을 약속했지만, 이행은 여전히 묘연해 보인다"며 "수십 년간 이어진 환경오염 정화 대책도, 노동자와 주민의 건강을 위한 개선책도 영풍그룹의 안중에는 없어 보인다"고 일갈했다.

기자회견에 함께 참여한 영풍제련소 주민건강 공동대책위 역시 "온갖 불법과 범죄 행위로 기업을 운영해 온 영풍 석포제련소는 대한민국에서 온전한 기업으로서 자격을 상실했다"며 "조업정지라는 행정처분이나 법 위반에 대한 제재가 더 이상 필요가 없는 기업으로 폐쇄 이후 파괴돤 환경과 오염된 낙동강을 복원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정부와 국회는 더 이상 영풍 석포제련소가 불법 범죄기업으로, 노동자들의 죽음터로서 악순환을 되풀이하지 못하도록 특단의 조치를 강구할 것을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부터 조업 정지에 들어간 영풍 석포제련소 측은 결의대회를 개최하고 "장기간 조업정지라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재도약하자"는 의지를 밝혔다.

김기호 영풍 사장은 "조업정지 기간 동안 환경과 안전에 대한 철저한 점검과 개선을 통해 더 깨끗하고 안전한 제련소로 거듭날 것"이라며 "모두가 한마음으로 재도약을 준비해 조업 재개 후 더 나은 제련소를 만들어가자"고 강조했다.

하지만 상습적인 환경 파괴 행위로 지역민들의 건강권을 침해한 사례가 적잖은 데다 환경 개선을 약속하고도 이를 제대로 이행하거나 개선하려는 노력에 있어 지속적인 문제점을 드러내면서 신뢰가 크게 떨어진 상황이다. 이 때문에 정치권과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이어지는 석포제련소 영구 폐쇄 주장은 더욱 격화될 것으로 보인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