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러시아 복귀 신경쓰는 현대차그룹, 기회지만 리스크도 고심

글로벌이코노믹

러시아 복귀 신경쓰는 현대차그룹, 기회지만 리스크도 고심

올해 들어 상표 등록 등 움직임…일각에선 "재진출 가능성" 언급
현대자동차그룹 양재동 사옥. 사진=현대차그룹이미지 확대보기
현대자동차그룹 양재동 사옥. 사진=현대차그룹
러시아-우쿠라이나 전쟁 여파로 러시아 공장을 매각하고 철수 했던 현대자동차가 새로운 상표를 등록했다. 이에 현지언론을 중심으로 일각에서는 현대차의 러시아 시장 재공략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타스 통신은 6일(현지 시각) 현대차가 최근 러시아연방지식재산서비스(로스파텐트)에 현대(Hyundai) ix10, 현대 ix40, 현대 ix50 등 3개의 상표를 등록했다고 보도했다. 이 상표들은 자동차, 예비 부품, 액세서리 관련 부문에 등록됐다.

타스 통신은 기아도 로스파텐트에 '기아 마이 모빌리티', '어 베터 웨이 투 고', '그린 라이트', '기아 에디션 플러스' 등 새로운 상표 5건을 등록했다고 전했다.

현대차와 기아는 4월에도 각각 최소 8건, 6건의 상표를 등록했다고 타스 통신이 보도한 바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2022년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을 시작하기 전까지 러시아 자동차 시장 '톱3'에 드는 인기 브랜드였다.

하지만 서방이 제재를 부과하자 부품 수급 등을 이유로 현대차의 러시아 내 생산이 중단됐다. 이어 2023년 12월 현대차는 현지 업체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 등 러시아 자산을 1만루블(당시 14만원 상당) 팔고 철수했다.

잇단 상표 등록에 대해 러시아 매체 RT는 "러시아 시장 재진입을 준비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평가했다.

업계는 이를 두고 현대차와 기아가 지식재산권과 상표권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했다. 다만 일각에선 현대차가 러시아에 재진출하기 위한 포석이란 분석도 나온다. 특히 올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을 중재하려는 움직임이 본격화하며 이러한 주장이 힘이 실리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에게 러시아는 중요 시장 중 하나다. 현대차는 2010년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준공하고 러시아 공략에 나선 바 있다. 기아도 러시아의 일자리 창출역할을 비롯해 현지와 호흡하며 시장안착에 노력을 기울여 왔다.

한국무역협회 등에 따르면 전쟁이 일어나기 전인 2021년 한국의 대러시아 승용차 수출 비중은 25.5%에 달했다. 같은 해 러시아 자동차 판매 순위로는 현지 기업 라다(35만714대)가 1위였고 그 뒤로 기아(20만5801대)와 현대차(17만1811대)가 2·3위를 기록했다. 현대차 솔라리스와 크레타, 기아 리오와 리오X 라인이 주로 생산됐다.

하지만 러시아가 2022년 우크라이나에 군사 작전을 시작하면서 서방이 러시아에 제재를 가했고, 그 여파로 현대차는 부품 수급 등의 이유로 현지 공장 생산을 중단했다. 결국 현대차는 2023년 12월 러시아 업체 아트파이낸스에 상트페테르부르크 공장을 포함한 지분 100%를 1만루블(당시 약 14만원)에 매각했다.

다만 현대차는 매각 당시 2년 내 공장을 되살 수 있는 '바이백 '조건을 걸었다. 현대차는 이 옵션을 올해 12월까지 실행해야 한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종전 협상이 이뤄질 경우, 매각했던 공장을 다시 되살 가능성도 있는 셈이다.

현재 종전 협상이 빠르게 진행될 경우 재진출이 빠르게 재진출이 가능해 다양한 시각이 교차하고 있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