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 U자형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등 재생에너지 정책 공약
"해상풍력 중심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나올 가능성 높아"
"해상풍력 중심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나올 가능성 높아"

9일 업계에 따르면 현 정부는 2030년 서해안 에너지고속도로, 2040년 U자형 한반도 에너지고속도로 건설,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햇빛(태양광)·바람(풍력) 연금 도입을 약속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재생에너지 중심 사회로 조속히 전환하겠다"며 "촘촘한 에너지고속도로 건설로 전국 어디서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게 해 소멸 위기 지방을 살리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풍력·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사업 활성화 가능성이 높아졌다. 한병화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정부의 에너지 정책 중심은 재생에너지"라며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의 전력 목표 비중을 기존 21.7%에서 30%로 상향하고, 연간 설치량도 기존 3기가와트(GW) 수준에서 5년 내 10GW 수준으로 확대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업계는 재생에너지원 중 해상풍력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안주원 DS투자증권 연구원은 "지난해 기준 태양광 누적 보급 설비 용량이 28.2GW인 반면, 풍력은 2.3GW에 불과하다"며 "태양광보다는 해상풍력에 힘이 더 실릴 것으로 예상된다"고 예상했다. 이어 "국내 해상풍력은 터빈, 타워, 베어링, 하부 구조물, 케이블, 설치선까지 전 밸류체인을 보유하고 있어 공급망 활용도도 높다"며 "해상풍력 중심의 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안 연구원은 "풍력 발전 산업이 발달한 유럽의 경우, 정부 주도의 개발이 많아 부지 확정부터 인허가, 계통 연계까지 정부가 전담하면서 속도감 있는 풍력 단지 개발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지속 가능성이 없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며 "(법안이) 꾸준히 추진된다면 해상풍력 사업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현 정부 들어 해상풍력 등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확실할 것을 전망하면서도 에너지 믹스를 균형 있게 유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강천구 인하대학교 제조혁신전문대학원 교수는 "(이재명 정부가)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간다는 것은 확실하다. 풍력의 경우 삼면이 바다여서 육상보다는 해상풍력이 더 낫다"며 "다만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원전, 액화천연가스(LNG), 재생에너지, 석탄 등 주요 에너지원들을 잘 융합해 에너지 믹스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했다.
김정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h132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