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G, 하이브리드 AI '엑사원 4.0' 공개…"의사 필기시험도 통과"

글로벌이코노믹

LG, 하이브리드 AI '엑사원 4.0' 공개…"의사 필기시험도 통과"

미국과 중국, 프랑스의 대표 오픈 웨이트 모델과의 벤치마크 비교에서 최고 성능 입증
개인부터 기업까지 누구나 고성능 GPU 없이도 엑사원 연동 및 활용 가능
LG 엑사온 로고, 사진=LG이미지 확대보기
LG 엑사온 로고, 사진=LG

LG AI연구원이 15일 국내 첫 하이브리드 AI 모델 '엑사원(EXAONE) 4.0'을 공개했다.

'엑사원 4.0'은 자연어 이해와 생성, 지식 기반의 빠른 답변에 강점이 있는 대규모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LLM)과 스스로 가설을 세우고 검증할 수 있는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추론 AI 모델을 하나로 결합한 모델이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하이브리드 AI를 공개한 곳은 미국의 클로드(Claude) 개발사인 앤스로픽(Anthropic)과 중국의 큐원(Qwen) 개발사인 알리바바(Alibaba) 정도이며, 오픈AI도 GPT-5를 통합 모델인 하이브리드 AI로 개발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엑사원 4.0'은 AI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는 벤치마크 비교에서 AI의 지식수준과 문제 해결 능력, 코딩 능력, 과학 문제 해결 능력, 수학 문제 해결 능력 등 평가에서 미국과 중국, 프랑스의 대표 오픈 웨이트 모델을 제치고 세계 최고 수준임을 입증했다.

LG AI연구원은 32B(매개변수 320억개) 크기의 전문가 모델과 1.2B(매개변수 12억개) 크기의 온디바이스 모델을 공개했다.

전문가 모델인 32B 모델은 의사, 치과의사, 한약사, 관세사, 감정평가사, 손해사정사 등 6가지 국가 공인 전문 자격증 필기시험을 통과하며 높은 수준의 전문성을 증명했다.

LG AI연구원은 가전 제품과 스마트폰, 자동차 전장 시스템, 로봇 등 다양한 기기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실용성을 갖춘 온디바이스 모델 개발에도 심혈을 기울였다.

온디바이스 모델은 외부 서버와의 연결 없이 전자 기기 내에서 빠르고 안전하게 정보를 처리할 수 있어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성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

이 모델은 지난해 12월 공개한 엑사원 3.5 2.4B 모델 대비 크기는 절반으로 줄어 가볍고 경제적이면서도 수학, 코딩, 과학 분야 등 전문 분야 평가 지표에서 미국 오픈AI의 GPT-4o mini보다 높은 성능을 보였다. 유사한 규모의 AI 모델 중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이라는 평가다.

상용 API 서비스 시작…'AI 기술 대중화'


LG AI연구원은 '엑사원 4.0'을 연구 및 학술, 교육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글로벌 오픈소스 AI 플랫폼인 허깅 페이스(Hugging Face)에 오픈 웨이트 모델로 공개했다.

오픈 웨이트 모델은 AI 모델의 설계도나 학습 데이터는 공개하지 않지만, AI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을 알 수 있는 가중치를 공개해 수정이나 재배포가 가능하다.

대표 오픈 웨이트 모델로는 미국 구글(Google) 젬마(Gemma), 메타(Meta) 라마(Llama),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파이(Phi), 중국 알리바바(Alibaba) 큐원(Qwen), 프랑스 미스트랄 AI(Mistral AI) 미스트랄(Mistral) 등이 있다.

엑사원 4.0 전문가 모델(32B)의 글로벌 프론티어급 모델들과의 벤치마크 성능 비교vy. 사진=LG이미지 확대보기
엑사원 4.0 전문가 모델(32B)의 글로벌 프론티어급 모델들과의 벤치마크 성능 비교vy. 사진=LG


LG AI연구원은 AI 기술 대중화를 위해 허깅 페이스의 공식 AI 모델 배포 파트너사인 프렌들리AI와 손잡고 '엑사원 4.0' 상용 API 서비스를 시작했다.

양사는 개인 개발자부터 기업에 이르기까지 누구나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없이도 엑사원을 손쉽게 활용하거나 서비스에 연동할 수 있도록 했다.

LG AI연구원은 이날 '엑사원 파트너스 데이'를 열고 국내 22곳의 파트너사들과 엑사원 생태계 협력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

오는 22일에는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LG AI 토크 콘서트 2025'를 열고 '엑사원 4.0'을 비롯한 AI 기술 연구 개발 성과 및 향후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김태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ghost427@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