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후 첫 일정으로 전력 수급 점검
"에너지 안정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
"에너지 안정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 "기후변화 대응이라는 절체절명의 (문제) 대응 측면에서 정책의 모멘텀이 분명히 있는 부분"이라면서 "어떤 결정이 나든지 산업과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연계될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20일 산업계에 따르면 김 장관은 전날 전력 수급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서울 마포구 한국중부발전 서울발전본부를 찾은 자리에서 기자들이게 이같이 말했다.
기후에너지부 신설은 산업부의 에너지 업무와 환경부의 기후 업무를 통합해 ‘기후위기 대응 컨트롤타워’를 만들겠다는 구상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 과정에서 공약으로 내걸면서 향후 부처 신설 여부에 산업계의 이목이 쏠렸다. 김 장관은 경제 관료 출신으로 최근까지 두산에너빌리티 마케팅 담당 사장으로 일하다 산업부 장관으로 발탁됐다.
반도체·이차전지 생산세액공제 도입과 관련해 전기차와 전기버스도 공제 대상인지 질문에 대해서는 "세수 재정 여력도 감안해야 될 상황이라 기획재정부 등 관계 당국과 긴밀히 상의해 제도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답했다.
김 장관은 호우에 따른 피해 복구 진행 상황과 열대야 대비 상황을 점검하며 안정적 전력 수급에 힘을 쏟겠다는 의지도 보였다. 그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은 국민의 일상과 산업활동을 뒷받침하는 가장 중요한 기반"이라며 차질 없는 전력 공급을 위해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뜻을 드러냈다.
18일 취임 후 첫 행보로 서울발전본부를 찾게 된 데 대해서는 "안정적 에너지 공급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라면서 "재난취약시설 전반에 대해 현장 점검을 강화하고 안전관리에 필요한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현장 회의에서 김 장관은 한국전력 대전세종충남 본부장, 광주전남 본부장 등 참석자들을 향해 "이번 호우로 약 2만5000호 정전이 발생했지만 신속 대응해 97% 이상 해결됐다"면서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정전과 설비 피해 복구에 만전을 기대달라"고 당부했다.
이어 "다음 주부터는 무더위와 열대야가 다시 나타나 최대 전력 수요가 90GW(기가와트)를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할 것으로 보인다"면서 "전력공급 능력을 충분히 확보해 폭염 상황에서도 국민들의 불편함이 없도록 면밀히 관리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