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합동 對美통상 점검 회의 주재
제조업 파트너십·비관세 조치 논의 중
제조업 파트너십·비관세 조치 논의 중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21일 “미국의 관세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우리가 맞닥뜨려야 할 통상 이슈부터 공급망 조정 문제까지 기업들에 닥친 불확실성이 매우 큰 상황”이라며 “전반적 국익 관점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이날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경제단체와 관련 업계, 학계 등과 '대미 통상 긴급 점검 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이같이 말했다. 김 장관은 취임 후 처음으로 민관이 함께 하는 대미 통상 점검 회의를 주재했다. 회의는 다음 달 1일 미국 정부의 상호 관세 부과 유예 조치가 종료되는 시점을 앞두고 열렸다.
그는 “우리의 민감성을 최대한 반영하면서 국익 관점에서 최선의 결과가 도출되도록 대응 역량을 가다듬고 있다”고 말했다. 업계를 향해서는 정보 공유와 대미 지원 활동 등 협상력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적극 공유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면서 “그러나 다른 나라 상황에서도 보시다시피 대미 관세 협상은 녹록지 않은 매우 엄중한 상황이고 최고와 최악 시나리오가 모두 열려 있는 아주 엄중한 상황”이라며 “촉박한 시간을 남겨두고 국내에서도 많은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는 점을 유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 정부는 한국을 향해 무역수지 균형 뿐만 아니라 다양한 비관세 장벽 문제를 해결해달라고 요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협상 테이블에 오른 비관세 장벽으로는 30개월령 이상 소고기 수입부터 농산물 수입, 구글을 위한 정밀 지도 반출 등으로 전해졌다.
현장에서 이와 관련한 협상 전략에 대한 기자들의 질문을 받고는 “모든 것들은 일단 테이블 위에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가까운 시일 안에 미국에 방문할 계획이 있느냐'는 질문에 김 장관은 "좀 상황을 봐야 할 것 같다"고 답했다. 전날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이 한미 통상협상과 정상회담 문제를 막판 조율하기 위해 방미길에 오른 가운데 김 장관도 방미를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승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rn72benec@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