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LG전자, 3분기 영업익 6889억 원…가전·전장 선전

글로벌이코노믹

LG전자, 3분기 영업익 6889억 원…가전·전장 선전

관세·희망퇴직 영향에 수익성 부담…전장, 역대 최대 수익 기록 전망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본사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이미지 확대보기
LG전자 여의도 트윈타워 본사 전경. 사진=글로벌이코노믹
LG전자가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3분기 실적을 기록했다.

LG전자는 올해 3분기 실적이 매출 21조8751억원, 영업이익 6889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3일 공시했다. 이 수치는 전년 동기대비 매출은 1.4%, 영업이익은 8.4% 감소한 수치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5.5%, 영업이익은 7.7% 증가했다.

LG전자는 “통상환경 변화로 인한 관세 부담, 인력 선순환 차원에서 만 50세 이상이거나 수 년간 성과가 낮은 직원 중 희망자에 한해 실시한 희망퇴직 등 비경상 요인이 전년 동기 대비 전사 수익성에 영향을 끼쳤다”고 설명했다. 이어 “생활가전이 사업 경쟁력과 시장 지위를 공고히 유지했고 전장이 역대 최고 수준 수익성을 기록한 것으로 전망되는 등 주력사업과 미래사업이 고르게 선전해 시장 우려를 상쇄, 기대치를 뛰어넘는 경영실적에 기여했다”고 덧붙였다.

생활가전 사업은 미국 수출물량의 관세 부담, 글로벌 수요 회복 지연 등이 이어지고 있지만 업계 최고 수준의 경쟁력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시장에서 지배력을 유지 중이다. 생산지 운영과 자원투입 최적화를 통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면서 제품과 서비스를 결합한 구독 사업이 꾸준히 성장한 결과로 풀이된다.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사업은 인력 선순환 차원에서 실시한 희망퇴직에 따른 일회성 비용이 작용했다. 사업 관점에서는 TV 판매경쟁 심화로 마케팅비가 증가했고 웹OS(webOS) 플랫폼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수익구조 다변화에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광고사업 고도화 △콘텐츠 확대 등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TV 수요가 견조한 ‘글로벌 사우스’ 공략을 추진중이다.

전장 사업은 3분기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했을 것으로 전망된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사업의 프리미엄 제품 판매 확대가 수익성에 크게 기여했다. 램프, 전기차 구동부품 사업도 사업구조 효율화에 속도가 나는 만큼 높은 수주잔고를 기반으로 향후 안정적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전망이다.

냉난방공조 사업은 상업용 공조시스템 및 산업·발전용 칠러를 앞세운 미래 사업기회 확보에 매진한다. 최근 북미·중남미·중동·아시아 등 글로벌 시장서 AI 데이터센터(AIDC) 냉각솔루션 등 대규모 수주가 이어지는 등 성과가 차츰 가시화되는 만큼 이를 레퍼런스로 삼아 사업의 잠재력을 지속 확대해 간다는 계획이다. 차세대 기술로 평가받는 데이터센터향 액체냉각 솔루션의 상용화 역시 차질 없이 준비해 나간다.

이번에 발표한 잠정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의거한 예상치다. LG전자는 이달 말 예정된 실적설명회에서 2025년도 3분기 연결기준 순이익과 사업본부별 경영실적을 발표할 계획이다.


장용석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angys@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