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방에는 통조림과 국수, 과일과 주류 등 상품과 팽이와 풍선 등 어린이 장난감, 가을엔 옥수수, 겨울엔 고구마 굽는 연탄 등 어린 필자와 아버지에게 만족을 주는 기회의 장소였다.
1970년대 동네 슈퍼는 특정 간판으로 유명 제조회사의 상품들을 직거래하는 지역의 자랑이었다. 필자도 ‘70년대 말 메이커 직거래 영업을 시작한 곳이 부산지역의 대형 슈퍼였다.
필자는 SK 유통 시절 서울에서 많은 경험을 했다. 특히, 재미교포 김홍태 선배 권유로 미국 선진 도매유통시스템인 ‘제트로 도매 물류시스템’을 현장에서 직접 공부하는 기회가 있었다.
필자는 농협 양재동 하나로 클럽을 제안한 김 선배와 함께했던 실무경험을 살려, 2002년 KOSA 전무시절, 유통단계 축소·전산화·기계화되는 중소유통도매물류센터 건립을 제안했다.
KOSA Mart는 대부분 매장면적 300㎡ 이하이었지만, 점주 경험과 기술이 겸비되었기에, 선진 물류시스템으로 유통단계를 단축한다면 대형 유통기업과 경쟁할 수 있다고 판단했었다.
김대중·노무현·이명박·박근혜 정부는 양극화 상황에 동네 상권 살리기는 이념과 관계없이 경제민주화를 화두로 자영업자가 몰락해 저임금 노동자가 되지 않도록 보호장치에 노력했다.
정부는「유통산업발전법」제17조의2에 중소유통공동도매물류센터의 건립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삽입하였다. 서울·경기 등 전국 지자체 단체장이 나서면서, 적극적으로 건축되었다.
필자는 1993년 SK 시절, 30~40평 규모에 육류·과일·생선 등 1차 식품을 취급하는 S~Mart 농수산물 편의점(CVS)사업경험을 살려, 2007년 말 정부에 Smart 사업을 대표로 제안했다.
정부는 필자가 제시한 모형이 위기에 처한 골목상권이 살아날 수 있을 것을 판단, 대형유통업체에 대적할만한 현대식 동네 슈퍼를 Smart에서 나들가게로 변경하여 지원 결정을 했다.
정부는 소상공인진흥원에 전문 조직을 개편, 혁신 의지가 있는 전국 2천 개 영세 소매 점주에 대해 소유점포를 현대식 점포로 개량 지원하고 교육 등을 통해 경쟁력 제고에 나섰다.
나들가게는 사업 초기, 평소 지저분하고 엉성했던 동네 슈퍼가 고객 동선에 맞게 정리되고 청·야 코너가 맨 앞으로 정리되는 등 고객의 눈높이에 맞는 서비스가 실현되면서 달라졌다.
국회와 정부는 무너지는 동네 상권 살리기를 위해 관련 입법과 다양한 시책을 추진한 결과, 기업형 슈퍼마켓에 밀려났던 구멍가게들이 나들가게와 스마트 슈퍼로 화려하게 부활하였다.
그러나 유통산업은 쩐과 정보, 기술과 인력싸움으로 기업형슈퍼(SSM)·편의점 증가를 국회가 쏟아낸 법안도 막기 어려웠고, 정부·점주들도 대전환시대 변화추이를 따라가지 못했다.
정부는 각종 지표에 의해 정책사업을 평가하고 다음 정책에 반영하는 ‘환류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필자도 과거 다양한 정책사업을 제안했던 사람으로 향후 대책들에 관심이 많다.
정부는 인건비 부담과 코로나19 고통을 보며, 시장적 차원에서 동네 슈퍼의 디지털화를 위한 지원 정책을 추진함에, 관련 협회·점주들의 선택과 집중, 결단의 시간이 다가오고 있다.
임실근 (사)한국스마트유통물류원구원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