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김대호 진단] 중국 베이징 증시 대주주 주식 매각 금지령

공유
1

[김대호 진단] 중국 베이징 증시 대주주 주식 매각 금지령

중국 증시 이미지 확대보기
중국 증시
중국 베이징 증시에서 대주주 "주식 매각 금지령"이 내리면서 중국에 투자한 국제 투자자들에게 비상이 걸렸다. 뉴욕증시에서는 중국에서의 자금회수 차질 우려가 증폭되고 있다. 뉴욕증시분 아니라 달러환율 국채금리 국제유가 그리고 비트코인 이더리움 리플등 가상 암호화폐에도 비상이 걸렸다.

28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중국의 제3 거래소인 베이징 증권거래소가 상장기업의 대주주들을 상대로 '주식 매각 금지령'을 내렸다고 로이터 통신이 보도했다.
소식통들은 베이징 증권거래소가 관할 상장기업 대주주들의 주식 매도를 금지하는 사실상 새로운 정책을 시행했고, 대주주들의 매도가 오랫동안 기다려온 증시 회복에 찬물을 끼얹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상하이, 선전 거래소에 이어 2021년 11월 문을 연 베이징 증권거래소는 중소 혁신기업에 대한 자금 지원을 목적으로 설립됐으나 투자자들의 관심 부족으로 힘을 잃어갔다.

그러다 당국의 증시 부양책에 힘입어 베이징 증시 대표지수인 50지수는 이달 들어 46% 급등했다.

부양책에는 투자자가 투자를 위해 증권 계좌에 보유해야 하는 최소 자금 기준을 낮추는 것 등이 포함됐다.

중국 당국 규정에 따르면 대주주는 5% 이상의 지분을 가진 자로 주식 매도 전 관련 정보를 공시해야 한다.

베이징 증권거래소는 이러한 공시를 거부하는 방식으로 이들의 주식 매도를 막고 있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 이어 이 새로운 정책이 얼마 동안 유지될지 알 수 없다고 덧붙였다.
문서 없이 구두로 내려오는 이러한 소위 '창구 지침'은 증시 회복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라고 소식통들을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지침이 없다면 주가 급등은 기관 투자자들의 지분 매도를 유도해 50지수를 다시 떨어뜨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베이징 증권거래소에는 현재 232개 기업이 상장돼 있으며 시가총액은 3천660억위안(약 67조원) 규모다.

반면 상하이 증권거래소에는 2천256개 기업이 상장돼 있으며 시총은 47조위안(약 8천550조원)에 달한다. 약 3천개 기업이 상장된 선전 증권거래소의 시총은 31조9천억위안(약 5천800조원) 규모다.

중국은 중소 혁신기업들이 가장 문턱이 낮은 베이징증권거래소에서 커나가기 시작해 상하이·선전의 과학혁신판이나 창업판을 거쳐 상하이·선전의 메인보드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자국 증시를 단계화·체계화한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금 가격이 강세를 이어가면서 온스당 250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글로벌 중앙은행의 활발한 금 매입과 중국 경기침체 우려, 지정학적 불안 확산도 금 투자 수요를 떠받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시장조사업체인 펀드 스트래트는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향해 가고 있다"며 이같이 전망했다. 금값 역대 최고치는 2020년에 기록한 온스당 2070~2080달러 정도다. 다우존스 마켓 데이터는 2089.2달러를 사상 최고치로 집계하고, 레피니티브와 블룸버그는 각각 2072.5달러, 2075.47달러를 장중 최고가로 제시한다. 중국에서는 부동산 침체 위기가 커지면서 인민은행 뿐 아니라 개인투자자들도 안전자산인 금 매수에 나서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전쟁으로 지정학적 불확실성이 커진 것도 금 투자 수요 확대를 견인할 것으로 예상된다.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흐름에 따라 수익률이 결정되는 파생상품의 대규모 손실이 임박하면서, 금융당국이 긴급 실태 조사에 나섰다.관련 상품을 판매한 은행과 증권사들이 가입자들에게 손실 가능성, H지수의 큰 변동성 등을 충분히 알리고 설명했는지 여부를 집중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다.미비한 부분이 드러날 경우 과거 라임·옵티머스·DLF(파생결합펀드) 등 여러 펀드 사태 당시 불거진 '불완전 판매' 논란이 다시 거세질 가능성이 있다. 금융사들은 금융소비자보호법 등에 따라 불완전 판매를 막기 위해 투자위험을 충분히 설명·녹취하고, 가입 의사를 추가 확인하는 등 적법한 절차를 거쳐 팔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0일부터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수익률 기준 지표)으로 삼는 주가연계증권(ELS)을 최근 수년간 팔아온 은행과 증권사를 대상으로 사실상 전수 조사에 착수했다.특히 판매 규모가 가장 큰 KB국민은행에서는 금감원 은행검사1국의 현장 조사가 이어지고 있다. 이번 출장 조사는 다음 달 1일까지 무려 10영업일에 걸쳐 이뤄질 예정이다.하나은행의 경우 마침 진행되는 정기 검사 과정에서 이 부분이 다뤄지고 있고, 신한·우리·NH농협 등 주요 판매 은행들도 금감원에 관련 자료를 제출하고 서면 조사를 받고 있다.증권사 중에서도 최대 판매사인 미래에셋증권과 KB증권 등 5∼6곳이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금융당국이 이처럼 일제 조사에 들어간 것은, 홍콩H지수 연계 ELS 가입자의 수 조원대 손실이 내년부터 현실로 드러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홍콩증권거래소 상장 우량 중국 국영기업들로 구성된 H지수는 2021년 초 10,000∼12,000포인트에 이르다가 현재 40∼50%에 불과한 6,000포인트까지 추락했고, 현재 중국 경기로 미뤄 뚜렷한 반등을 장담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이 판매한 홍콩H지수 연계 ELS 가운데 약 8조4천100억원어치(11월 17일 기준)가 내년 상반기 만기를 맞는다. 이 ELS 집계에는 주가연계펀드(ELF)와 주가연계신탁(ELT)이 모두 포함됐다. H지수가 현재 수준에서 횡보하면, 내년 상반기에만 8조원의 40% 이상, 3조원이 넘는 손실이 불가피하다. 상품 가입이 가능한 것은 아닌지 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