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럽연합(EU) 일본 한국 등 주요국과의 일대일 협상에서 대규모 투자를 이끈 만큼 향후 글로벌 공급망은 미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이 커진 상태다.
물론 군사 지원을 빌미로 동맹국으로부터 조공을 받으려 한다는 비난은 해결해야 할 트럼프 행정부의 과제다.
트럼프의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만들 구상은 세계에서 가장 큰 내수 시장을 자국 제조업을 부활시키는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국가별로 차등적인 관세 협상을 벌이는 것도 세계 무역 판도를 180도 바꾸려는 의도다. 자유무역체제 약화는 수출로 먹고 살아온 한국 경제에는 도전인 셈이다. 미국과 중국 간 공급망 경쟁에서 살아남을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이유다.
중국은 트럼프식 거래에 대응해 다양한 전략을 구사하는 모양새다. 우선 미국과는 상호관세 24%를 90일간 유지하는 대신 희토류 수출 금지 등 반격을 유예하는 선에서 봉합했다.
4월 2일 책정한 34%로 되돌리지 않는 게 중국의 목표인 셈이다. 중국은 미국 이외의 지역 국가와의 협력 강화에도 공을 들이는 중이다.
브릭스 국가를 비롯해 동남아 중앙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지역과의 무역을 늘려 중국 중심의 공급망을 만들겠다는 전략의 일환이다.
인도와 브라질 등도 미국과의 불평등 합의에 불만이 많다. 세계 경제를 관통해온 규칙과 통제력에 한계를 보일 수밖에 없는 구조다.
유럽연합마저 미국과 대등한 무역협정을 맺지 못하는 상황에서 세계 경제의 블록화는 피하기 힘들다. 지난 60년간 글로벌 무역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22%에서 43%로 늘린 개도국과 신흥국도 마찬가지다.
앞으로 생존과 번영을 위해서라도 글로벌 협력을 강화해야 하는 시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