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국토안전관리원, 사망사고 50건 유형과 원인 분석

글로벌이코노믹

국토안전관리원, 사망사고 50건 유형과 원인 분석

붕괴와 도괴에 의한 사고 가장 많은 14건(29%)
유형별 사망사고 사고발생 현황. 자료=국토안전관리원이미지 확대보기
유형별 사망사고 사고발생 현황. 자료=국토안전관리원
국토안전관리원이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해 초기 조사한 사망사고 50건 유형과 원인을 분석했다.

국토안전관리원은 16일 건설현장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한 자료 활용을 위해 ‘건설사고 사례집’을 제작했다고 밝혔다. 이를 관리원 누리집과 건설공사안전관리종합정보망에 게시했다.

이번 사례집은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발생한 건설사고 중 명확한 원인 규명을 위해 관리원이 직접 현장조사를 실시한 50건의 사망사고를 분석했다.

유형별 현황을 보면 전체적으로 붕괴와 도괴에 의한 사고가 가장 많은 14건으로 29% 차지했다. 이어 떨어짐(추락)은 총 48건 중 10건, 깔림 9건, 부딪힘과 폭발 각 3건씩으로 나타났다.
공종별 사고발생 현황은 건설기계가 10건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댐·상하수도와 철근콘크리트공이 각각 8건씩으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건설기준코드를 바탕으로 사고원인과 재발방지대책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건설공사 참여자들이 사고 방지대책을 마련하거나 안전교육을 실시할 때 교재로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김일환 원장은 “이번 사례집이 건설사고 예방과 유사사고 재발방지를 위한 교육에 좋은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