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산업부, 자재관리 개선 전담반 발족…2026년까지 '4000억' 비용 절감

글로벌이코노믹

산업부, 자재관리 개선 전담반 발족…2026년까지 '4000억' 비용 절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12개 에너지 공기업 TF 참여
1조원대 비축 자재를 효율적 관리…”내년 상반기 대책 발표“
유사 발전소 간 자재 통합 관리…장기 미활용 자재 최소화
3년 넘는 자재 25% 정리…총 4000억원의 비용 절감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지난달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 도중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뉴시스 이미지 확대보기
김동철 한국전력공사 사장이 지난달 1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의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 도중 물을 마시고 있다. 사진=뉴시스
국내 주요 에너지 공기업들이 장기보관 중인 1조원대 비축 자재를 효율적 관리해 오는 2026년까지 수천억원 규모의 비용 절감에 나선다.

이들 공기업은 자재의 수요 예측 정확도를 높이고 유사 발전소 간 자재를 통합 관리하는 등 장기 미활용 자재를 최소화할 계획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가 서울 종로구 수송동 석탄회관에서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등 12개 에너지 공기업이 참여하는 ‘자재관리 개선 전담반(TF)’을 발족했다.

이번 TF 발족은 에너지 공기업들이 자재관리를 부실하게 하고 있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TF팀은 이날 제1차 회의를 열고 비축 자재의 관리 방안을 논의했다.
에너지공기업은 관련 설비가 고장 났을 때 긴급복구를 위해 자재의 중요도와 조달 기간 등을 고려해 수리용 주요 자재를 보관한다. 현재 이들 공기업이 장기보관하고 있는 3년 넘는 자재는 1조6000억원 규모다.

지난달 국회에서 열린 산업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에너지 공기업들이 비축 중인 자체 중 일부는 장부상 단가가 0원으로 처리되는 등 자재 관리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산업부는 이달 중 에너지 공기업의 자재관리 현황을 전수조사한 뒤 효율적인 관리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오는 2026년까지 현재 장기보관 자재의 25% 정도를 정리해 총 4000억원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둘 계획이다.

또 미활용 자재의 회계처리 기준을 개선하고 미활용 자재의 재활용·재판매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등 개선대책을 논의했다.

이호현 산업부 에너지정책실장은 “에너지 요금 조정을 논의하기 전, 에너지 공기업들이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수준의 구조조정과 경영쇄신이 필요하다”며 “TF 논의를 통해 내년 상반기 중 구체적인 자재관리 개선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남상인 글로벌이코노믹 선임기자 baunamu@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