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한전, 완도 앞바다에 탄소흡수원 ‘잘피’ 15만주 이식...탄소중립·기후변화 위기 대응 ‘앞장’

글로벌이코노믹

한전, 완도 앞바다에 탄소흡수원 ‘잘피’ 15만주 이식...탄소중립·기후변화 위기 대응 ‘앞장’

한국전력이 완도 인근 바다에 해양 탄소흡수원(블루카본)인 잘피 15만 주를 이식했다. 사진=한전이미지 확대보기
한국전력이 완도 인근 바다에 해양 탄소흡수원(블루카본)인 잘피 15만 주를 이식했다. 사진=한전


한국전력이 완도 인근 바다에 해양 탄소흡수원(블루카본)인 잘피 15만 주를 이식했다.

26일 한전에 따르면 국가 탄소중립과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수산자원공단과 함께 바닷속 3㏊ 면적에 잘피 군락지를 조성했다.

이는 승용차 600여 대가 1년간 배출하는 탄소량을 흡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블루카본은 바다와 해초 등 해양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로, 산림 등 육상의 탄소흡수원인 ‘그린카본’보다 탄소 흡수 속도가 50배 이상 빠르고 탄소 저장능력도 2배 이상 높아 국제사회에서 새 온실가스 감축 수단으로 주목받는다.

잘피는 바닷속에서 꽃을 피우는 해초류로 맹그로브 숲, 염습지와 함께 UN IPCC(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가 공식 인증한 3대 블루카본 중 하나다.

한전과 한국수산자원공단은 지난해 잘피 이식을 위한 최적 대상지 선정을 위해 지형조사, 환경조사, 지자체 협의 등을 거쳐 전국 잘피의 40%가 분포하고, 생존율(61.8%)이 높은 완도 인근 연안을 최종 선정했다.

한전 관계자는 “국내 대표 에너지 공기업으로서 탄소중립을 선도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ESG 경영과 환경보전 책임 노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수연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2040sys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