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주택 월세 전환 '가속화'...올해 1분기, 월세 비중 '역대 최대'

글로벌이코노믹

서울 주택 월세 전환 '가속화'...올해 1분기, 월세 비중 '역대 최대'

1분기 서울 주택 임대차 계약 23만3958건 중 월세 6만2899건
월세 비중 '64.6%'...지난 2014년 이후 분기 기준 가장 높아
전셋값 상승·금리 부담·전세 사기 등 영향...월세 전환 가속화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은 총 23만3958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 계약은 6만2899건(64.6%)을 차지했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은 총 23만3958건으로, 이 가운데 월세 계약은 6만2899건(64.6%)을 차지했다. 서울 아파트 전경. 사진=연합뉴스
올해 1분기 서울의 주택 월세 비중이 분기 기준 역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서울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차 계약 23만3958건 중 월세 계약이 6만2899건 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월세 비중이 64.6%를 차지한 것으로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제대로 취합되기 시작한 지난 2014년 이후 분기 기준으로 가장 높은 수치다.

최근 서울의 월세 전환은 가속화되고 있는 추세다.
지난 2021년까지만 해도 연평균 40%대 수준이던 월세 비중은 역전세난과 전세사기가 사회 문제로 떠오른 2022년과 2023년에 각각 53%, 56%대로 높아졌고 지난해 평균 60.3%까지 치솟았다.

분기별로는 지난해 2분기 59.1%에서 3분기에 60.3%, 4분기에 61.2%로 증가세를 보인 뒤 올해 1분기에 65%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비중이 급증했다.

서울의 월세 전환 속도가 빨라진 배경에는 2∼3년 전 심각했던 역전세난이 진정된 이후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면서 최근 1년 이상 전셋값 상승세가 이어진 점이 작용했다.

또한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와 은행권 대출 금리 인하가 지연되면서 세입자들이 인상된 보증금을 감당하지 못하고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가 늘어난 것도 한몫했다.

여기에다 빌라 등 다세대·연립은 전세사기 우려로 젊은층을 중심으로 고액 보증금 기피 현상이 커진 데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보증금반환보증 가입 기준 강화로 불가피하게 보증금 일부를 월세로 전환하는 사례도 늘고 있다.

빌라 매매가격이 하락하면서 보증 가입 기준(공시가격의 126%)을 맞추기 위해 보증금을 낮추고 일부를 월세로 돌리는 방식이다.

업계에서는 전세의 월세 전환 추세는 임대차 시장 변화와 함께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서울뿐 아니라 전국적으로도 월세 전환 흐름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올해 1분기 기준 제주도는 월세 비중이 80%에 달했고, 대전(68.5%), 울산(68.0%), 부산(66.5%) 등 주요 도시에서도 서울보다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문용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yk_115@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