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DL이앤씨, 스마트건설 분야 경쟁력 강화...건설업계 최초 '드론 플랫폼' 도입

글로벌이코노믹

DL이앤씨, 스마트건설 분야 경쟁력 강화...건설업계 최초 '드론 플랫폼' 도입

'드론 플랫폼' 이용해 디지털 트윈 구현...모든 주택 건설 현장 적용
공정과 품질, 안전 관리, 설계, 분양, 유지보수 등 활용 가능
AI기술 접목해 시스템 고도화 추진...“스마트건설 분야 선도할 것”
DL이앤씨가 최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하는 드론 플랫폼을 국내 업계 최초로 주택 전 현장에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드론 플랫폼으로 제작된 아크로 드 서초 현장. 사진=DL이앤씨이미지 확대보기
DL이앤씨가 최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하는 드론 플랫폼을 국내 업계 최초로 주택 전 현장에 도입해 운용하고 있다. 드론 플랫폼으로 제작된 아크로 드 서초 현장. 사진=DL이앤씨
DL이앤씨가 디지털 트윈을 구현할 수 있는 드론 플랫폼을 개발해 국내 업계 최초로 모든 주택 건설 현장에 도입하는 등 스마트건설 분야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28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DL이앤씨가 최근 디지털 트윈(Digital Twin)을 구현하는 드론 플랫폼을 국내 업계 최초로 주택 전 현장에 도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DL이앤씨는 스마트건설 플랫폼 기업인 메이사(Meissa)와 손을 잡고 드론 플랫폼을 개발해 디지털 트윈을 구현했다.

메이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3차원 매핑(3D Mapping) 엔진을 보유하고 있다. 양사는 드론을 활용해 건설 현장을 주기적으로 촬영하고 정밀 분석한 후 정교한 디지털 트윈을 만들어 냈다.
디지털 트윈이란 현실 세계의 사물을 가상 세계에 그대로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디지털 트윈을 건설 분야에 적용하면 가상공간에 현실의 쌍둥이 현장을 만들 수 있다”며 “이를 통해 공정과 품질, 안전 관리, 설계, 분양, 유지보수 등에 활용하는 일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DL이앤씨의 드론 플랫폼에서는 디지털 트윈을 기반으로 공기·공정별 현장 상황을 한눈에 3D로 확인할 수 있다. 경사도와 면적, 거리 등 현장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일은 기본이다.

또한 현장 상황을 도면과 비교하며 시공의 정확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효율적인 현장 관리도 가능하다.

DL이앤씨는 드론 플랫폼을 통해 철저한 원가 관리로 생산성까지 높였다. 기존에는 토공량(공사에서 다루는 흙의 양) 산출을 위해 현장 반·출입 트럭 데이터를 활용하면서 오차가 발생했다.

하지만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항공 촬영을 통해 토공량을 자동으로 산출할 수 있어 정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DL이앤씨는 드론 플랫폼을 주택 전 현장에 도입해 운용 중이고 일부 토목과 플랜트 현장에서도 적용하고 있다.

이 외에도 시공뿐만 아니라 수주 단계에서 사업성을 검토하는 업무에도 활용하고 있다.

DL이앤씨는 앞으로는 인공지능(AI) 기술을 접목해 AI가 스스로 현장 내 오류를 찾아주고 관리하는 등 시스템을 고도화하는 작업에 나설 계획이다.

DL이앤씨 관계자는 “드론 플랫폼을 활용하면 품질과 안전 확보는 물론 생산성까지도 높일 수 있다”며 “드론과 AI, 건설정보모델링(BIM) 등 업계 최고의 기술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스마트건설 분야를 지속 선도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