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민과 대화하고 만성질환 관리
로보케어·삼성노블카운티와 협업
원베일리·원펜타스 입주민에 실증
“고령화시대 시니어 삶의 질 높여”
로보케어·삼성노블카운티와 협업
원베일리·원펜타스 입주민에 실증
“고령화시대 시니어 삶의 질 높여”

삼성물산 건설부문은 래미안 원베일리, 래미안 원펜타스, 삼성노블카운티 거주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홈 AI 컴패니언(Companion) 로봇 서비스 실증을 시작한다고 3일 밝혔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소가구 시니어의 삶의 질을 높여줄 수 있는 3대 핵심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화를 통한 감정 교류로 정서적 교감을 하는 말동무 역할, 호출 응답·IoT 기기 음성제어·응급상황 보호자 알림 등 집사의 역할, 복약 알림 및 확인·웨어러블 기기 연동 만성질환 관리·인지 능력 향상 등 전담 간호사 역할을 수행한다.
이번 실증은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서 주관하는 '2025 서비스로봇 실증 사업'에 선정됐다. 삼성물산·삼성노블카운티·로보케어가 컨소시엄을 이뤄 진행된다.
시니어 로봇 전문기업인 로보케어의 로봇을 국내 대표 실버타운인 삼성노블카운티와 삼성물산이 시공한 래미안 아파트에 거주하는 시니어들이 실거주 환경에서 로봇을 직접 사용해 보는 방식이다.
이번 실증을 위해 삼성노블카운티에 거주하는 시니어 20가구와 래미안 원베일리와 래미안 원펜타스에 거주하는 시니어 20가구에 총 40대의 홈 AI 컴패니언 로봇을 보급한다.
이번달부터 12월까지 약 15주간 실제 생활환경에서 로봇을 사용하며 로봇의 유용성과 개선점을 파악하는데 기여할 예정이다.
홈 AI 컴패니언 로봇은 음성인식 기반으로 작동하고 복약 알림 등의 상세 설정은 연결된 태블릿을 통해 가능하다.
몸체에 장착된 마이크와 스피커를 통해 대화가 가능하며 15°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로봇의 얼굴에 달린 비전센서를 통해 사용자의 상황을 인식한다.
로봇의 크기는 높이 30cm ·폭 21cm ·가로 20cm·무게 4kg 가량이며 5인치 스크린을 통한 눈동자 감정 표현으로 대화 시 감정 교류를 원활히 할 수 있다.
한편 매핑(지도화)을 통해 세대 구조를 정확히 인식한 상태에서 전방 카메라를 통해 장애물을 인지하고 회피해 주행 가능하다. 또한 약 0.5m/s의 이동 속도로 시니어의 평균 보행 속도인 0.6~1.0m/s에 발을 맞춘다.
삼성물산은 로봇 시대에 대비해 다양한 로봇 서비스 상용화를 목표로 지난해 도어 투 도어(Door-to-Door) 실내외 배송로봇 서비스를 출시하는 등 로봇 솔루션 사업을 추진 중이다.
이번 실증을 통해 기존 사업과 시너지를 내는 시니어 맞춤 주거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간 연계 로봇 사업의 선도 기업으로 입지를 다진다는 계획이다.
조혜정 삼성물산 DxP본부장(부사장)은 “공간 크리에이터(Creator)로서 고령화 시대에 꼭 필요한 서비스는 무엇일지 고민해왔다”며 “이번 실증을 통해 시니어들이 주거공간에서 새로운 일상을 누리도록 돕겠다”고 강조했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