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 체결
상생협력 규모 183억으로 확대
대출·R&D·임직원 교육 등 제공
“함께 성장할 상생 생태계 조성”
상생협력 규모 183억으로 확대
대출·R&D·임직원 교육 등 제공
“함께 성장할 상생 생태계 조성”
이미지 확대보기KCC는 28일 동반위와 대중소기업 양극화 해소를 위한 협력기업 생태계 강화 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지난 2022년 첫 체결 후 기간(3년)이 만료되며 진행된 재협약이다. KCC는 향후 3년간 납품대금 제대로 주기 3원칙(제값 쳐주기·제때 주기·상생결제로 주기) 준수를 포함해 다양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할 예정이다.
KCC는 이번 협약을 통해 협력 중소기업의 복지와 기술경쟁력, 금융지원 등을 포함한 상생협력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자금을 기존 157억원에서 26억원을 늘린 183억원 규모로 확대했다.
이를 통해 협력사 임직원들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복리후생 혜택을 강화하고 장기 근속 유도와 조직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계획이다.
또 협력사 임직원에게 KCC 임직원 전용 쇼핑몰을 개방하고 직무·ESG·어학 등 온라인 교육 과정을 무상으로 지원함으로써 근로자의 자기계발과 직무역량 향상을 적극 뒷받침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KCC는 협력사 기술 경쟁력과 경영 안정성을 위해 다양한 실질 지원책을 운영한다.
기술 유출 방지를 위한 교육과 기술자료 임치 수수료 지원은 물론 협력기업과의 R&D를 통해 공동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또한 유휴 생산설비 및 연구 장비를 무상으로 임대함으로써 중소기업 설비 투자 부담을 줄인다.
또 현장 의견을 반영한 신규 프로그램도 다수 추가했다. 협력사의 판로 확대와 브랜드 경쟁력 제고를 위한 홍보 콘텐츠 제작, 간판 설치비, 인증시험 비용, 안전설비 투자비를 지원한다.
KCC 관계자는 “이러한 프로그램은 단순한 비용 지원을 넘어 협력사가 지속가능한 생산 기반을 마련하고 자생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협력사의 금융 부담 완화를 위해 기술개발, 운전 자금 등 운영에 필요한 비용을 무이자 직접 대출로 제공해 협력사가 경영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이다.
KCC 관계자는 “이번 재협약은 상생 프로그램을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과정으로 복지, 기술, 금융 등 협력 중소기업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지원을 이어가겠다”며 “앞으로도 협력 중소기업과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상생 생태계 조성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성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weirdi@g-enews.com













![[뉴욕증시] 엔비디아 강세 속 3대 지수 상승](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02906530705550c35228d2f5175193150103.jpg)








![[초점] 트럼프 재집권 후 美 불법이민자 210만명 떠났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9003245082899a1f30943117511616074.jpg)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3일 만에 반락...전 거래일 대비 이익 실...](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