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증권사 반대매매 주의보…9년만에 최대

공유
0

증권사 반대매매 주의보…9년만에 최대

시장상황 모니터링 등 선제대응

최근 주식거래에서 반매매매가 늘며 증권사로 불똥이 튈지 우려를 낳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최근 주식거래에서 반매매매가 늘며 증권사로 불똥이 튈지 우려를 낳고 있다. 사진=글로벌이코노믹 DB
최근 주식거래에서 반대매매가 급증하며 증권사로 불똥이 튈지 불안이 커지고 있다. 주가 급락으로 반대매매를 못할 상황이 발생하면 증권사의 부실로 돌아오기 때문이다.

25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주식반대매매 규모는 지난 23일 기준으로 302억7200만 원을 기록했다. 2011년 8월9일(311억3500만 원) 이후 9년만에 최대수준이다.
반대매매는 고객이 증권사의 돈을 빌리거나 신용융자금으로 주식을 매입한 뒤 빌린 돈을 약정한 만기기간 내에 변제하지 못할 경우 고객의 의사와 관계없이 주식을 강제로 일괄매도 처분하는 매매를 뜻한다. 매도시 시장가(하한가)로 주문을 내는 탓에 주가하락을 부추긴다.

반대매매와 관련있는 신용융자가 늘며 반대매매의 위험은 어느 때보다 높아진 상황이다.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지난 9일 17조645억 원을 기록하며 처음으로 17조 원을 넘었다. 지난 23일 17조3660억 원으로 여전히 고공행진 중이다.

증권사 입장에서 반대매매는 언제터질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다. 반대매매를 해도 체결되지 않으면 부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2015년 내츄럴엔도텍이 제품원료로 '가짜 백수오'논란으로 연속 하한가로 급락한 경우가 대표적인 예다.

내츄얼엔도텍은 하루를 빼곤 10거래일동안 하한가로 주저앉았다. 당시 증권사는 반대매매나섰으나 주가가 개장 직후 하한가로 직행하며 거래가 되지 않아 대규모의 미수채권이 발생했다. 최근 증시에서 일부 종목들의 주가가 코로나19 치료제 테마에 엮이며 급등락하며 반대매매 미체결에 따른 부실채권발생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당국의 반대매매 억제조치도 부담이다. 앞서 지난 3월 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 시장안정조치의 일환으로 6개월동안 신용공여 담보비율 유지 의무에 대한 탄력적 운영조치를 시행중이다. 이에 따라 증권사는 담보유지비율을 낮추거나 고객이 요청하면 반대매도를 1~2일 유예하고 있다.

이같은 반대매매 불안에도 업계에서 증권사가 반대매매에서 미수채권이 발생할 가능성은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과거와 달리 시장상황을 모니터링하며 신용가능종목 등을 조율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시장상황에 따라 신용가능종목을 늘리거나 줄이고 있다”며 “선제대응을 하며, 신용가능종목에서 반대매매관련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은 낮다"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시장상황에 맞게 대용이나 현금비율을 조정하고 있다"며 "신용가능종목은 시스템으로 감시하고 대응하기 때문에 지난 3월 코로나19 급등락장에서도 반대매매에 관련된 부실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최성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ada@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