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6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따르면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상승 출발했으나 미국 연준 FOMC 의사록 공개이후 하락 반전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와 나스닥 지수는 하락세다. 기술주들이 많이 포진해 있는 나스닥지수는 특히 낙폭이 크다. 이날 뉴욕증시는 민간 고용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았다는 소식에 초반부터 약세였다.
연준 FOMC 위원들은 이 의사록에서 인플레 상황에 맞추어 테이퍼링과 금리인상의 속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이날 나온 ADP 전미 고용보고서에 따르면 12월 민간부문 고용은 무려 80만7000 명 증가했다. 이는 뉴욕증시의 전문가 예상치 37만5천 명을 두 배가량 웃돈 수준이다. 민간 고용이 예상치를 크게 웃돌면서 곧 이어 발표되는 노동부의 고용 보고서에 비상이 걸렸다. 뉴욕증시 컨센서스로는 12월 노동부의 비농업 고용이 42만2천 명 증가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12월 실업률 예상은 4.1%이다. 인플레이션 공포 속에 고용이 강한 모습을 보이면서 연방준비제도(연준·Fed)가 기준 금리를 예상보다 일찍 인상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있다. 이같은 우려를 반영하여 국채금리도 고공행진을 하고 있다. 시카고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에 반영된 연준의 올해 3월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60%를 웃돌고 있다. 미국 10년물 국채금리는 1.66% 내외에서 움직이고 있다.
국제유가도 강세이다. 유럽 증시는 일제히 상승 마감했다. 영국 런던 증시의 FTSE 100 지수는 전 거래일 종가 대비 0.16% 상승한 7,516.87로, 프랑스 파리 증시의 CAC 40 지수는 0.81% 오른 7,376.37로 마쳤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증시의 DAX 30 지수는 0.74% 오른 16,271.75로, 범유럽 지수인 유로 Stoxx 50 지수도 0.56% 상승한 4,392.15로 마감했다. AFP 통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가 세계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기존에 우려했던 것보다 심각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에 뉴욕증시사 상승한 것으로 분석했다.
김재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iger8280@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