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전 세력의 개입 정황을 뒤늦게 알아차린 데다가 관련 제보가 있은 후 금융감독원과 바로 공조하지 않아 사건을 키웠다는 지적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위는 지난달 초 언론사 제보 등을 통해 사건의 징후를 포착했다.
인지 후 조사 착수까지 시간이 소요되며 이른바 작전 세력이 대규모로 주식을 처분했을 가능성 역시 제기되는 상태다.
연일 급락세를 탔던 다올투자증권·다우데이타·대성홀딩스·삼천리·서울가스·선광·세방·하림지주 등 8개 종목 중 상당수에 대해 이미 작년부터 '작전설'이 의심됐다는 정황도 함께다.
반면 금융위원회가 이상 징후를 알아차린 것은 얼마 되지 않았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금융위원회는 4월 초에 인지가 된 상태다"고 말했다.
김주현 금융위원장도 SG증권발 폭락 사태 관련 인지 시점에 대해 "제가 들은 건 아주 최근"이라고 말했다.
유동성이 적고 주가 변동성이 크지 않던 8개 종목은 최근 큰 폭으로 주가가 상승했다는 공통점이 있다.
근래 상승 곡선을 그린 대성홀딩스 주가는 지난달 말 종가 기준 13만7200원으로 지난 2021년 말 4만7100원에서 1년 3개월 새 3배가량 뛰어 올랐다.
같은 기간 삼천리 주가는 9만800원에서 51만5000원으로 6배가량, 선광은 1만1950원에서 4만6000원으로 4배가량 상승했다.
늦은 인지와 더불어 공조 시점에 대한 문제도 제기된다.
나흘 새 시가총액 8조원이 증발하는 사태가 터지고 나서야 금감원에 관련 제보 자료를 공유한 것으로 알려져서다.
통상 금융위는 중대한 사안의 경우 금융감독원과 공동 조사를 벌인 뒤 패스트트랙(신속 수사전환)으로 사건을 검찰에 넘긴다.
공조 시점이 지연되며 주가 조작 세력들에게 물량 처분의 시간을 제공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이와 관련해 금융위 관계자는 본지와의 전화 통화에서 "조사 시점과 관련해서는 확인해드릴 수 있는게 없다"면서도 "보도된 내용과는 달리 문제 내용 인지 시점부터 유관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왔다"고 전했다.
김보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eeping@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