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테라 사태’권도형 송환 키 쥔 몬테네그로 법무, 美방문...권도형 미국행 임박?

공유
0

‘테라 사태’권도형 송환 키 쥔 몬테네그로 법무, 美방문...권도형 미국행 임박?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몬테네그로 일간지 '비예스티' 제공, 연합뉴스
권도형 테라폼랩스 대표. 몬테네그로 일간지 '비예스티' 제공, 연합뉴스

세계적 암호화폐 사기 사건으로 몰락한 '테라·루나' 사태의 핵심 인물인 권도형 전 테라폼랩스 대표의 범죄인 인도국 최종 결정 권한을 가진 몬테네그로 법무장관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를 방문했다.

22일(현지시각) 몬테네그로 현지 매체 등에 따르면 몬테네그로 법무부 장관인 안드레이 밀로비치가 미국 워싱턴DC의 SEC 본부에서 거버 그레왈 SEC 집행국장 등을 만나 권도형의 SEC의 조사 결과와 미국 재판 진행 상황에 대해 한 정보를 공유했다.

이 자리에서 밀로비치 장관과 몬테네그로 법무부는 "양측은 이번 회의가 사법 및 투자자 보호 분야에서 몬테네그로와 미국 간의 관계를 강화하는 데 중요한 진전이며, 앞으로 두 기관의 상호 이익을 위해 관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추후 권도형의 범죄 수사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과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 SEC 측에 감사를 표하고 투자자 보호와 금융시장 사기 범죄 예방을 위해 국제 공조가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금 확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SEC는 지난해 2월 최소 400억달러(약 51조5천억원)에 달하는 사기 행각을 벌인 혐의로 권도형 전 대표를 제소한 상태다.

외신은 밀로비치 장관의 SEC 방문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그가 몬테네그로에서 체포된 권도형을 한국과 미국 중 어느 나라로 송환해 법적 판단을 받게 할지에 대한 최종 권한을 가진 인물이기 때문이다.

경제 포럼 참석차 이틀 전 미국을 방문한 그는 그 권한을 바탕으로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행보에 나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편, 테라폼랩스 창업자인 권도형은 테라·루나 폭락 사태 직전 2022년 4월 싱가포르로 출국한 뒤 잠적했다.

이후 아랍에미리트(UAE)와 세르비아를 거쳐 몬테네그로에 입국한 후 지난해 3월 23일 현지 공항에서 UAE 두바이행 전세기에 탑승하려다 위조 여권이 발각돼 11개월만에 체포됐다.

위조 여권 사용 혐의로 징역 4개월을 선고받은 권도형은 지난 3월 23일 형기를 마치고 출소한 뒤 외국인수용소로 이송되어 있으며 각국이 처벌을 위해 그의 송환을 바라고 있다.

현재 권도형은 경제사범에게 100년 이상 징역형을 선고할 수 있는 미국 대신 최고 형량이 40년 안팎인 한국행을 바라고 있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