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 최대 도매시장이라 불리는 중국 저장성 이우 시장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는 소문이 퍼지는 가운데, 현장에서는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21세기경제 등 중국 현지 외신이 9일(현지시각) 보도한 바에 따르면, 최근 중국 온라인에서는 이우 시장의 상인들이 스테이블코인으로 대금을 받아 수수료를 아끼고 있다는 내용이 널리 퍼졌다.
또 중국 화타이증권은 2023년 이우 시장의 스테이블코인 관련 자금흐름이 100억달러(약 13조7천억원)에 달했다고 분석하는 보고서를 내놨다.
이우 시장은 640만㎡ 규모 면적에 연간 해외 바이어 56만명이 찾는 명실상부 세계 최대 도매시장이다. 이우 시장에서 팔려나가는 210만종의 상품은 전세계 233개국으로 수출된다.
사정이 이렇게 되자 중국 현지 매체들은 적극적으로 실태 파악에 나섰다. 세계 각국이 적극적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도입하려는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 결제 사례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최대 도매시장에서 실증 사례가 보고된다면 중국이 일약 스테이블코인 최대 시장이 되는 것 뿐만 아니라 암호화폐 최대 시장이 될 수 있다.
더욱이 이우 시장과 같은 무역 거점에서 스테이블코인 결제가 활성화한다면 글로벌 결제 수단 변화와 관련해 대대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다는 기대심리가 있다.
그러나 매체들은 이우 시장 상인들 대부분이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처럼 기존의 유명한 암호화폐도 아닌 스테이블코인이라는 존재 자체에 대해 금시초문이라는 반응을 나타냈다고 전했다.
현지 매체와 인터뷰한 이우 시장의 의류·액세서리 판매상인 리씨는 "우리 가게는 알리페이, 위챗페이, 계좌 송금에 의존해 거래한다"면서 "스테이블코인으로 결제하겠다는 손님을 본 적도 없고, 관련 장비나 시스템도 모른다"고 말했다.
또 모 바이어는 스테이블코인뿐만 아니라 암호화폐를 이용한 결제 사례가 있다는 이야기도 못 들어봤다고 전했다.
현장 상인과 바이어 등의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이해도는 소문과 달리 아직 현저히 낮은 수준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홍콩에서는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위한 조례가 오는 8월 발효될 예정이다.
앞서 크리스토퍼 후이 홍콩 재경사무국고 장관은 지난 7일 "연내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목표"라면서 "조례가 발효된 후 발행 신청을 받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용수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iscrait@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