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원 돌파…3월 재개 이후 '최고치'

글로벌이코노믹

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원 돌파…3월 재개 이후 '최고치'

사진=한국거래소이미지 확대보기
사진=한국거래소
국내 증시에 공매도 경고등이 켜졌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의 공매도 순보유 잔고가 9조원을 돌파하며 공매도 거래가 전면 재개된 지난 3월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1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코스피의 공매도 순보유 잔고는 9조445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공매도 재개일인 3월 31일(3조9,156억원)이후 최대치다. 코스피 시가총액 대비 공매도 잔고 비중도 같은 기간 0.19%에서 0.35%로 확대됐다.

코스닥시장 역시 공매도 잔고가 3조9,287억원에 달하며 3월 말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가총액 대비 비중은 0.52%에서 0.96%로 증가했다.

공매도 순보유 잔고란 빌려온 주식을 매도하고 아직 청산하지 않은 수량을 말한다. 잔고가 늘어났다는 것은 주가 하락에 베팅하는 투자자들이 늘었음을 의미한다.
종목별로는 이차전지 및 반도체 소재 기업 SKC가 시총 대비 공매도 순보유 잔고 비중 5.55%로 코스피 내 1위를 기록했다. 한미반도체(4.92%), 신성이엔지(3.89%), 호텔신라(3.84%), 동방(3.48%), 두산퓨얼셀(3.44%), 한화비전(3.41%) 등이 뒤를 이었다.

코스닥에선 제룡전기(4.70%), 브이티(4.67%), 다날(4.52%), 제주반도체(4.34%), 네이처셀(4.10%), 에코프로비엠(3.95%) 등이 상위권에 포진했다.

숏커버링 기대감도…기준금리·추경·부양책 ‘3박자’

공매도 잔고 급증은 최근 국내 증시의 상승세에 따른 차익 실현 움직임과 단기 조정에 대비한 포석으로 해석된다. 실제 코스피 지수는 지난 4월 셋째 주 이후 13주간 단 2주를 제외하고 모두 주간 상승세를 기록했다.

일각에서는 외국인의 숏커버링(공매도 청산을 위한 주식 재매수)이 본격화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미국발 관세 불확실성이 완화되고, 글로벌 위험자산 선호 심리 회복으로 증시 반등 여지가 크다는 분석이다.

특히 공매도 잔고 비중이 높은 종목 중 일부, 예컨대 한미반도체, 브이티, 호텔신라 등은 펀더멘털 개선 조짐도 보이고 있어 향후 주가 반등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및 증시 부양책 등 ‘3박자’가 맞물리며 강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다”며 “이 같은 흐름은 하반기에도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