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샘 올트먼 'AI 버블' 경고 현실화되나... DB증권 "금리인하 시점 주목해야"

글로벌이코노믹

샘 올트먼 'AI 버블' 경고 현실화되나... DB증권 "금리인하 시점 주목해야"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연합뉴스이미지 확대보기
샘 올트먼 오픈AI CEO. 사진=연합뉴스
OpenAI의 샘 올트먼 CEO가 현재 AI 관련 주식시장이 버블 상태라고 경고한 가운데, DB증권이 24일 이에 대한 심층 분석을 내놓았다.

강현기 연구원은 최신 보고서에서 올트먼의 경고가 현실적 근거를 갖고 있다며, 특히 올해 하반기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점을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DB증권 분석에 따르면, 현재 S&P500의 PER(주가수익비율)이 22배에 달해 2000년 닷컴버블 붕괴 직전의 25배에 근접한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는 올트먼의 AI 버블 경고가 단순한 우려가 아닌 실제 데이터에 기반한 합리적 판단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더욱 주목할 점은 AI 열풍을 주도해온 빅테크 기업들의 성장세 둔화다. 이른바 'Magnificent 7(M7)'으로 불리는 주요 기술기업들의 PER은 28배로 S&P500 평균을 상회하지만, 매출액 증가율은 지난 1년 넘게 하락세를 보이며 이제 일반 기업 수준으로 떨어졌다.
강현기 연구원은 "M7의 2025년 3분기 및 4분기 매출액 증가율 추정치가 각각 14.5%, 13.6%로 여타 기업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며 "기업이 이익을 내더라도 성장률이 하락하면 밸류에이션은 낮아지기 마련"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현재 상황이 과거 닷컴버블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다는 반박 논리도 제시됐다. 2000년 당시 관련 기업 상당수가 이익을 창출하지 못했던 것과 달리, 현재 AI 산업을 선도하는 M7 기업들은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다는 점이 핵심 차이점으로 꼽힌다.

이는 단순한 투기적 거품이 아닌 실제 비즈니스 모델에 기반한 성장이라는 해석을 가능하게 한다. 다만 성장률 둔화로 인한 밸류에이션 부담은 여전히 유효한 리스크 요인으로 남아있다.

DB증권은 AI 버블 붕괴 시점으로 올해 하반기 미국 기준금리 인하 시기를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기준금리 인하가 항상 주가 상승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는 분석이다.

강현기 연구원은 "세간의 믿음과 달리, 기준금리 인하가 경기 둔화 이후 뒤늦게 진행될 때는 즉시 주가를 상승시키지 못하고, 오히려 눈앞의 경기 둔화에 연동하여 주가가 하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현재 미국 고용시장 위축 이후 기준금리 인하 논의가 나타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는 설명이다.

△자금 이동과 포트폴리오 재편 가능성은?

금리 인하 시점에는 미국채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채권 시장으로 자금이 이동하고 주식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도 제기됐다. 특히 M7의 매출액 증가율이 일반 기업들과 크게 다르지 않은 상황에서, 투자자들은 제한된 자금 하에서 보다 효율적인 투자처를 물색할 수 있다.

DB증권은 "투자자들이 M7과 유사한 성장률을 기록하면서도 더 내실 있게 실적을 올리는 저평가 기업의 주식으로 자금을 이동시킬 가능성이 있다"며 "이로 인해 샘 올트먼의 발언을 더 진지하게 받아들일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분석은 AI 관련 주식에 대한 맹목적 투자보다는 보다 신중한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올해 하반기 미국 통화정책 변화와 그에 따른 시장 자금 흐름의 변화를 면밀히 관찰해야 할 시점이다.

샘 올트먼의 버블 경고가 자기실현적 예언이 될지, 아니면 단순한 우려에 그칠지는 앞으로 몇 개월간의 시장 상황 전개에 달려있다. 다만 현재의 밸류에이션 수준과 성장률 둔화 추세를 고려할 때,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는 상황임은 분명해 보인다.


정준범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jb@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