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건설은 전날 이라크 WIP(해수처리시설) 프로젝트 수주를 공시했다. 계약금액은 31.6억 달러(한화 약 4.39조원), 공기는 49개월이다.
바그다드 남동쪽 코르알 주바이르 항 인근에 일일 500만 배럴(250만*2 trains) 용수를 생산하는 해수처리 플랜트를 짓고, 생산수는 바스라 남부의 웨스트 쿠르나·루마일라 등 주요 유전에 주입해 증산에 쓰인다.
조정현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계약은 2019년 동사가 발주처로부터 LOI(대부분 법적 구속력이 없는 낙찰 의향서)를 받았으나, 지분 구조 및 재원 이슈로 지연됐던 동일 패키지”라며 “계약가는 2019년 LOI(24.5억 달러) 대비 28.9% 상향된 31.6억 달러로, 인플레이션·설계 최적화가 가격에 반영되며 원가 방어력이 강화된 것"으로 추정했다.

그 이유로 첫째, 글로벌 메이저(TE·Qatar)와 국영사(BOC)가 함께하는 구조이므로 대금 지급 리스크가 낮을 것으로 보고 있다. 둘째, 단독·장기 대형 공사로 연평균 약 1조원 내외의 매출 가시성이 생긴다. 셋째, 카르발라 정유공장(2023년 준공) 이후 최대급 해외 레퍼런스를 추가하면서 중동 플랜트 입찰 경쟁력과 후속 패키지 파이프라인이 강화될 예정이다.
조 연구원은 “국내 도시정비·원전 모멘텀에 더해 해외 플랜트 축이 회복되며, 실적 변동성 완충 효과를 기대한다”며 “결론적으로 이번 수주는 ‘거버넌스 안정+가격 현실화+대형 수주 확보’의 3박자다. 단기에는 수주 모멘텀, 중기에는 공정 30% 이후 가파른 이익 인식이 주가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김은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happyny777@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