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LUSD, XRP 원장 위에서 법정화폐 카드 거래 정산 테스트 돌입
규제된 美 은행, 퍼블릭 블록체인 활용하는 '최초' 사례 탄생 예고
느리고 비싼 기존 시스템 대체...1~3일 걸리던 결제 '즉시 처리' 목표
규제된 美 은행, 퍼블릭 블록체인 활용하는 '최초' 사례 탄생 예고
느리고 비싼 기존 시스템 대체...1~3일 걸리던 결제 '즉시 처리' 목표
이미지 확대보기5일(현지시각) 암호화폐 전문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날 열린 리플의 '스웰 2025(Swell 2025)' 행사에서 발표된 이 이니셔티브는 규제된 스테이블코인이 규정 준수나 안전성을 희생하지 않으면서도 기존 금융 인프라를 얼마나 간소화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핵심은 탈중앙화 결제 네트워크인 XRP 원장(XRPL)과 2024년 12월 뉴욕 신탁 헌장에 따라 리플이 출시한 미국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 RLUSD다. RLUSD는 현금 및 현금성 자산으로 전액 보장되며, 리플은 이미 유통량이 10억 달러를 돌파했다고 공개했다.
파일럿 프로그램에서 제미니 신용카드 발급사인 웹뱅크는 XRPL에서 RLUSD를 사용해 마스터카드 거래를 정산하는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 방식이 성공적으로 구현될 경우, 이는 규제 대상 미국 은행이 퍼블릭 블록체인에서 규제 대상 스테이블코인을 사용하여 기존 카드 결제를 정산하는 최초의 사례 중 하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리플 사장인 모니카 롱(Monica Long)은 "목표는 소비자가 이미 알고 있는 결제 흐름, 즉 신용카드를 긁는 것의 백엔드에 블록체인 속도와 효율성을 도입하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실질적으로 이 시범 운영은 현재 은행들이 의존하는 더 느리고 비용이 많이 드는 결제 시스템을 대체할 잠재력을 지닌다. 가맹점 은행과 카드 발급사 간의 신용카드 거래가 승인될 때까지 1~3일을 기다리는 대신, RLUSD와 같은 스테이블코인은 특히 국경을 넘는 자금 이동에 거의 즉각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
이전부터 스테이블코인 결제를 검토해 온 마스터카드는 이번 프로젝트가 규제된 디지털 자산을 자사의 글로벌 네트워크에 통합하려는 광범위한 노력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한편, 제미니와 리플은 올해 초 제미니 신용카드의 'XRP 에디션'을 공동으로 개발한 바 있다.
이태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tjlee@g-enews.com
[알림] 본 기사는 투자판단의 참고용이며, 이를 근거로 한 투자손실에 대한 책임은 없습니다.



















![[일본증시] 닛케이평균 반등...조정 반동으로 환매 부진도 나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027140004025380c8c1c064d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