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 전시를 보며 패션, 그리고 복식문화라는 것이 곧 예술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느꼈다. 실생활에서 가장 가까운 예술로서 미술적 요소로 자아를 표현하는 수단이 곧 패션이다. 파리는 꾸뛰르이고 꾸뛰르가 곧 파리라는 디자이너 크리스챤 디올의 말을 떠올리며 패션 역사의 한 페이지를 화려하게 장식한 아름다운 드레스들을 보니 명화 속에서 그 시대를 고스란히 보여주는 옷자락에 둘러싸인 아름다운 여인들이 떠올랐다.
많은 그림들 중에서도 인상주의 작품들은 그 당시 파리의 문화, 분위기와 여인들의 복식문화를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물론 18세기 프랑수아 부셰(Francois Boucher)가 그린 퐁파두르 부인의 초상이나 엘리자베스 루이즈 비제 르 브룅(Elisabeth Louise Vigee-Le Brun)이 그린 마리 앙투아네트의 모습은 정말 아름답고 화려하다. 화려한 레이스와 반짝이는 보석, 포근한 벨벳과 부드러운 실크의 질감과 색감이 그대로 느껴진다. 하지만 인상주의 작품이 보여주는 패션은 더욱 특별하다. 파스텔톤 르누아르의 소녀들, 드가의 가녀린 발레리나, 대담하고 세련된 마네의 여인들…. 이들이 그림 속에서 유난히 빛나는 것은 인상파 화가들의 붓 터치로 표현된 패션 아이템들 덕분이다.
2012년 오르세 미술관에서는 ‘L'impressionnisme et la Mode(인상주의와 패션)’라는 전시를 열었다. 클로드 모네(Claude Monet), 에두아르 마네(Edouard Manet), 에드가 드가(Edgar De Gas), 제임스 티소(James Tissot), 앙리 제르벡스(Henri Gervex) 등 인상주의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 속 의복문화를 들여다보고 실제 그 시대의 사람들이 입었던 옷들을 그림과 함께 볼 수 있도록 한 전시다.


복식문화를 반영하는 기록으로서 회화 작품과 함께 꼭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모드(Mode, 패션을 뜻하는 프랑스어) 판화’다. 패션 잡지의 시초인 19세기 모드 판화는 그 당시의 파리 모드를 그린 일러스트와 문화, 여가, 사교계 소식 등을 모두 넣어 석판화로 찍어 몇 장의 판화작품으로 이루어진 일종의 화집이다. 당시 많은 사람들이 모드 판화에 많은 관심을 가졌고 화가들 역시 그림 속 모델의 포즈, 세련된 옷의 형태와 장식들을 참고하였다고 한다. 수준 높은 테크닉을 보유한 전문 화가들이 대거 제작에 투입되기도 했던 이 모드 판화는 한 장 한 장이 복식문화의 기록물이자 훌륭한 미술 작품인 것이다.


“나는 flower woman(꽃 같은 여성)을 디자인했다.” 크리스챤 디올이 남긴 말이다. 18, 19세기 프랑스 예술을 사랑하고 평생 여성을 우아하게 만들어주기 위해 고민했던 디자이너…. 그에게 끝없는 영감을 준 것은 어쩌면 인상주의 회화 속 한 송이의 flower woman일지도 모른다.
강금주 이듬갤러리 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