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과 영업이익, 전년 2분기 대비 각각 7.5%, 48.3% 상승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락앤락은 주요 해외 시장 중 한 곳인 동남아 지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가 재확산되고, 물류 등의 어려움이 있는 상황에서도 지역 판로 다변화와 채널‧카테고리 전략으로 성장을 이뤄냈다.
실제로 2분기 락앤락의 매출은 1269억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5%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68억 원으로 48.3% 개선됐다.
이번 2분기 실적 호조에 가장 크게 기여를 한 것은 수출이다. 수출액은 지난해 2분기와 비교해 36% 상승했으며, 2019년 2분기와 비교해도 17% 올랐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 식품보관용기와 베버리지웨어를 중심으로 수요가 크게 회복되며 견조세를 보였다.
락앤락은 미국과 유럽의 최대 홈쇼핑 채널인 ‘QVC’에서도 플라스틱 밀폐용기뿐 아니라 유리 용기, 베버리지웨어 등 판매 상품 다변화를 꾀했다.
최대 매출처인 중국 법인의 매출은 지난해 같은 대비 1.3% 증가했다. 코로나19 악화로 지난해 2분기에 특히 높았던 식품보관용기 수요 대신, 전략 제품인 물병이 큰 인기를 끌며 성장을 견인했다.
지난해 히트 상품으로 등극한 ‘듀얼머그’는 새로운 컬러와 캐릭터를 입힌 제품을 선보이는 등 다양한 에디션을 잇따라 출시하며 티몰과 징동닷컴 등 주요 온라인 플랫폼에서 성과를 냈다.
중국에서 2분기 베버리지웨어 성장률은 42.4%를 기록했으며, 듀얼머그의 인기로 락앤락은 상반기 티몰과 징동닷컴에서 유리물병 카테고리 3위를 차지했다.
국내 매출도 지난해 2분기보다 7.3% 성장했다. 수익성 관리 차원에서 홈쇼핑 비중을 전략적으로 축소하며 홈쇼핑 메인 제품인 쿡웨어의 매출이 줄었지만, 소형가전의 성장세가 계속되며 신성장 동력으로서 시장 내 입지를 재확인했다.
‘진공쌀통’, ‘스팀에어프라이어’ 등 기존 제품들의 경쟁력이 이어지며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238.2% 큰 폭으로 매출이 신장했다.
 이미지 확대보기
이미지 확대보기신규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발굴하며 채널을 전략적으로 운영한 것도 성과의 주요인으로 꼽힌다. 락앤락은 일부 대형 온라인 채널의 정책 변경 이슈에도 불구,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와 ‘오늘의 집’, ‘카카오커머스’ 등 성장 플랫폼에 집중하며 온라인에서 지난해 2분기 대비 34.4% 성장했다.
베트남 법인의 경우, 지난 4월부터 코로나19 상황이 악화되며 채널 비중이 가장 높은 매장이 타격을 받았다. 오프라인의 부진을 타개하기 위해 ‘쇼피’ ‘티키’ ‘라자다’ 등 주요 이커머스 채널에 집중했고, 그 결과 온라인 매출은 지난해 2분기보다 37% 신장하며 전체 하락폭을 방어했다.
이정민 락앤락 경영기획본부 상무는 “베트남 등 동남아에서 코로나가 악화되며 일부 영향을 받았지만 지역적 다변화와 채널 효율화, 소형가전과 베버리지웨어 등 주요 사업부문의 견고함을 기반으로 2분기에도 성장 모멘텀을 이어갔다”고 분석했다.
이 상무는 “미국과 독일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수출이 확대되고 있고, 하반기 소형가전 신제품과 베버리지웨어, 쿡웨어 등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인 만큼 전망이 밝다”라면서 “지속적인 매출 증대와 비용 관리로 수익성 개선에 집중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손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injizzang@g-enew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