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5대 시중 은행장·정책금융기관장 간담회
‘2050 탄소중립’ 목표로 2030년까지 정책금융 공급
‘2050 탄소중립’ 목표로 2030년까지 정책금융 공급
이미지 확대보기금융위원회는 19일 제로에너지건축물인 서울에너지드림센터에서 5대 시중 은행장과 정책금융기관장 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금융지원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우선 산업은행, 수출입은행, 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등 정책금융기관들은 2030년까지 총 420조원의 정책금융을 공급해 기업의 저탄소 공정 전환 등을 지원한다. 그동안에는 자체 재원과 기후대응기금 등으로 메꿔왔지만, 범정부의 ‘2050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하기 위해선 더 많은 자금이 필요하겠다고 판단해서다.
이에 따라 연평균 자금 공급량은 지난 5년 평균인 연 36조원에서 연 60조원으로 67% 확대된다. 주요 지원 분야는 저탄소 공정 개선 시 우대보증, 에너지전환 프로젝트 보증, 초기 녹색기술·사업 투자, 탄소배출 감축 시 금리 우대, 친환경 선박 등이다.
아울러 은행권도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합세하기로 했다. 산업은행과 KB, 신한, 하나, 우리, NH 등 5대 시중은행이 2030년까지 총 9조원을 출자해 미래에너지펀드를 새로 만들고, 정책금융기관이 14조원의 후순위대출을 공급하면서 신재생에너지 설비 증설을 위한 투자금(188조원)을 원활하게 확보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밖에도 미래 먹거리 개발을 위한 민간금융 지원이 조성될 수 있도록 ‘녹색 여신 관리지침(가칭)’을 마련하기로 했다. 여기에는 정책금융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총 9조원이 투입된다. 녹색 경제활동에 대한 원칙과 기준을 담은 ‘녹색분류체계’의 한국 모델이 은행 여신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한국형 녹색분류체계를 고도화하고 그 적용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올해는 4대 환경목표(물, 순환경제, 오염방지, 생물 다양성)를 일부 개정할 예정이다.
이후 2027년까지 민간 녹색 투자를 총 30조원 규모로 확대하고자 채권, 융자 등 정부 지원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배출권거래제 고도화를 위해 제4차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시장을 활성화하고자 금융투자상품의 단계적 도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




















![[글로벌 SMR] AI 전력난, ‘소금 연료’와 ‘3D 프린팅’이 뚫는...](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09421302802fbbec65dfb591524497.jpg)

![[초점] 삼성, 2400조 시장 뚫을 비기(祕技)는 AI 아닌 '힌지'](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80&h=60&m=1&simg=2025112610365407964fbbec65dfb59152449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