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조치는 앞서 밝힌 14개국에 이어 추가된 것으로 트럼프는 “우리와의 관계에 따라 관세 조정 가능성은 있다”고 말했다.
10일(이하 현지시각) CNBC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필리핀, 브루나이, 몰도바, 알제리, 이라크, 리비아, 스리랑카 등 7개국 정상에게 직접 보낸 관세 통보 서한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는 지난 7일 공개된 14개국 서한에 이은 조치로 당시 트럼프는 일본, 한국,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미얀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튀니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등에 대해 “다음달 1일부터 수출품에 대해 최대 40%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앞서 4월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전 세계 거의 모든 국가를 대상으로 10%의 기본 관세를 적용하고 일부 국가에는 더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해방의 날’ 관세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당시 발표 직후 글로벌 무역시장은 극심한 혼란에 빠졌고 결국 트럼프는 해당 관세 조치를 90일간 유예한다고 밝혔다. 이 유예 기간은 본래 이달 10일 종료 예정이었으나 트럼프는 지난 7일 다시 행정명령에 서명해 다음달 1일까지 기한을 연장했다.
그러나 트럼프는 9일 재차 “더 이상의 연장은 없다. 다음달 1일부터 시행된다”고 강조했다.
CNBC는 트럼프가 관세 통보를 보낸 국가 중 상당수가 미국과의 교역 규모가 크지 않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몰도바의 경우 2024년 기준 미국과의 무역적자는 불과 8500만 달러(약 1177억원)에 불과하다.
관세율은 국가별로 20~40% 수준이며 전체적으로는 ‘무역적자 축소’라는 트럼프 특유의 관점에 기초해 있다. 트럼프는 무역적자가 곧 미국이 ‘착취당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주장해 왔지만 다수의 경제전문가들은 이에 동의하지 않고 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