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만 관세 인하…한국·EU 자동차 업계는 오히려 압박 커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일본과의 무역협상에서 일본산 제품에 15%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시장에서는 오히려 안도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 대통령이 일본과 타결한 관세 수준이 ‘수십 년 만의 최고치’임에도 더 높은 관세를 예고해온 트럼프식 전략이 투자자들에게 심리적 ‘구원’으로 작용했다고 24일(이하 현지시각) 보도했다.
◇ 닛케이 3.5% 급등…일본차 주가 10%↑
이번 합의로 일본산 자동차에는 기존 2.5%에서 6배 오른 15%의 관세가 부과된다. 당초 25% 관세 가능성까지 언급돼왔던 만큼 시장은 오히려 반색했다.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발표 당일인 지난 22일 3.5% 넘게 상승했고 토요타 등 일본 자동차업체 주가도 10% 이상 뛰었다. 미하우 요즈비악 이버리 애널리스트는 “이번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의 실질적인 양보이자 일본 자동차산업을 최악의 충격에서 구한 ‘생명줄’”이라고 평가했다.
◇ “충격전략이 협상구도 바꿔”…다른 국가는 더 높은 관세 부담
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6개월간 8월 1일까지 협상하지 않으면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해왔다. 영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과 이미 10~20% 관세 수준에서 타결을 마친 상태다. 일본 역시 쌀 시장 개방 문제와 미국산 자동차 관세 완화 문제 등에서 난항을 겪었으나 15% 수준에서 협상을 매듭지었다. 요즈비악은 “이번 합의는 백악관이 협상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다는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말했다.
반면 트럼프 대통령은 철강과 구리에 각각 50% 관세를 부과하거나 예고했으며 다른 국가들의 평균 관세율도 20% 안팎에서 고착화되고 있다고 노무라증권은 분석했다. 실제로 트럼프 행정부의 평균 유효 관세율은 19.5%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는 인플레이션을 자극하고 미국 경제 성장세를 둔화시킬 수 있다고 지적했다.
◇ 미국 소비자도 피해…“7배 인상된 세금 부담”
일부 전문가들은 이번 합의가 결국 미국 소비자와 기업에도 손해라고 경고했다.
경쟁기업연구소(CEI)의 라이언 영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15% 관세는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했던 25%보다는 낮지만 미국 소비자와 소매업자, 일본 부품을 쓰는 미국 제조업체 모두에게 타격”이라며 “미국이 일본 제품에 부과하는 관세가 기존보다 7배나 높아지는 셈”이라고 밝혔다.
패트릭 앤더슨 앤더슨이코노믹그룹 최고경영자(CEO)는 “독일, 한국, 유럽연합(EU)의 자동차는 25% 관세를 그대로 맞을 가능성이 높다”며 “일본이 그보다 낮은 관세를 적용받게 되면 다른 경쟁국에 큰 압박이 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25% 관세는 고급차 1대당 1만5000달러(약 2066만원, 환율 1377원 기준) 이상의 부담을 더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일부 차량의 수입은 사실상 중단된 상태”라고 설명했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