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840만 톤 유출…대책 없으면 2050년 1410만 톤 전망
소비 9배 폭증이 원인…'강력 규제 시 97% 감축' 대안 제시
소비 9배 폭증이 원인…'강력 규제 시 97% 감축' 대안 제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최근 발표한 '지역 플라스틱 전망(Regional Plastics Outlook)'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는 이 지역을 ‘플라스틱 오염의 중심지(hotspot)’로 지목하며, 2022년에만 840만 톤의 플라스틱이 관리 부실 탓에 환경으로 유출됐다고 설명했다.
특히 농촌 지역의 고질적인 문제가 심각성을 더한다. 보고서는 "대부분의 아세안(ASEAN) 국가와 중국, 특히 농촌 지역에서는 노천 소각과 투기 같은 비공식적이고 안전하지 않은 관행이 이어진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폐기물은 강과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하고, 인체에 유입되는 미세 플라스틱 문제를 일으키는 주범이다.
문제의 심각성은 미래 전망에서 더욱 두드러진다. OECD는 현재 추세가 이어진다면 2050년에는 이 지역의 연간 플라스틱 유출량이 1410만 톤에 이르고, 이 중 510만 톤이 강과 바다를 직접 오염시킬 것으로 내다봤다. 이 추세대로라면 2050년까지 하천과 호수에는 누적 1억2600만 톤, 바다에는 5500만 톤의 플라스틱이 쌓이게 된다.
◇ 폭증한 소비가 낳은 '플라스틱 폐기물'
이런 재앙과 같은 상황의 근본 원인은 폭발적으로 늘어난 플라스틱 소비에 있다. 급격한 인구 증가와 도시화 때문에 이 지역 13개국의 플라스틱 사용량은 1990년 1700만 톤에서 2022년 1억5200만 톤으로 무려 9배나 늘었다. 특히 사용된 플라스틱의 절반 이상이 수명 5년 미만의 포장재 등이어서 문제의 심각성을 키우고 있다. 이는 곧바로 막대한 양의 폐기물로 이어져 같은 기간 플라스틱 폐기물 발생량은 1000만 톤에서 1억1300만 톤으로 치솟았다.
◇ '강력 규제와 국제 공조'가 해법
다만 보고서는 희망 섞인 대안도 함께 내놨다. 각국 정부가 일회용 플라스틱 규제와 세금 부과 같은 야심 찬 정책을 도입하면, 플라스틱 사용량을 28% 줄이고 지역 내 재활용률은 54%까지 현재보다 4배 이상 높일 수 있다. 보고서는 이를 통해 관리 부실 폐기물을 97%까지 크게 줄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유출된 플라스틱은 특정 국가에 머무르지 않고 하천과 해류를 따라 국경을 넘나들기 때문에 국제 사회의 공동 대응이 시급하다. 지난해 부산에서 열린 회의가 생산 억제 등을 둘러싼 이견으로 결렬된 뒤, 법적 구속력을 지닌 국제 플라스틱 협약 마련을 위한 협상이 최근 스위스 제네바에서 재개돼 관심이 쏠리고 있다.
OECD의 마티아스 코르만 사무총장은 "동남아시아와 동아시아는 플라스틱 오염 해결과 순환 경제 실현의 세계적인 모델이 될 수 있다”면서 "야심 찬 정책과 투자, 협력을 통해 2050년까지 플라스틱 누출을 실제로 뿌리 뽑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