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전문가 2배로 늘릴 것"…日 노동력 부족 해소, 인재 양성 목표
모디 총리와 정상회담서 공동 선언 개정…경제 협력 외 안보 협력도 강화
모디 총리와 정상회담서 공동 선언 개정…경제 협력 외 안보 협력도 강화

이번 투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첨단 기술 분야의 일본 기업들이 인도로 진출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26일(현지시각) 닛케이 아시아가 보도했다.
이와 더불어 일본은 인도 전문가를 더 많이 받아들여 국내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양국 간의 인적 교류를 확대하려 한다.
이시바 총리는 일본 기업에 더 많은 인도 전문 인력을 받아들이고, 향후 5년 안에 전문 기술을 갖춘 인도인 근로자 수를 현재의 2만5000명에서 두 배로 늘릴 것이라고 밝혔다.
일본이 제안한 10조 엔 투자는 이동성, 환경, 의학 등 8가지 우선 분야를 목표로 한다. AI 분야에서는 'AI 협력 이니셔티브' 협정에 따라 젊은 연구자들의 교류를 만들고, 사회 문제 해결에 AI를 활용할 계획이다.
특히 뉴델리는 반도체 관련 재료 및 장비에 대한 일본의 강점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 이시바 총리와 모디 총리는 29일 미야기현에 있는 칩 제조 장비 제조업체 도쿄 일렉트론의 시설을 방문하여, 회사가 고객을 위해 운영하는 교육 센터를 견학할 예정이다.
일본은 인도에 진출하려는 스타트업을 지원하기 위해 공식 개발 원조(ODA)를 사용하여 투자를 늘리고 있다. 일본국제협력기구(JICA)는 이미 IT 허브인 하이데라바드가 있는 인도 텔랑가나주의 스타트업을 위한 엔화 대출에 관여해 왔다.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인구와 재능 있는 엔지니어를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인도의 엘리트 인재를 받아들일 때 언어 장벽을 해결하는 것도 목표로 하고 있다.
간호 제공업체인 솜포 케어(Sompo Care)는 인도 근로자의 고용 및 교육을 시작했으며, 2024년 회사가 인도에 설립한 시설에서 교육을 마친 후 첫 번째 직원이 일본에서 근무를 시작했다.
에너지 기업 세키쇼(Sekisho)는 인도 학생과 일본 기업을 연결하는 매칭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도쿄는 2030년까지 최대 79만 명의 첨단 기술 교육을 받은 직원 부족에 직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인도에서는 매년 150만 명의 공대생이 졸업하여, 양국 간의 인적 교류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신민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hincm@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