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번 프로그램은 지난해에 이어 두 번째로 추진되는 것으로, 차세대 신약 개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정교한 기술 검증부터 시장 진입 지원까지 연계하기 위해 마련됐다. 대원제약은 서울바이오허브와 함께 올해 5월부터 7월까지 참여 기업 모집을 진행했고 그 결과 키텍바이오와 아토매트릭스를 최종 선정했다.
키텍바이오는 독보적인 계열 내 최초신약 원천기술인 'FLIC'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이 기술은 항암제 등의 약물을 알부민에 결합시키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결합 기술로 알부민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단백질 재조합 기술 대비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특히 항암제 개발에 적용할 경우 암세포가 알부민의 결합 여부를 구분하기 어렵게 만들어 FLIC-알부민 결합체의 암세포 흡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아토매트릭스는 막단백질을 포함한 중요 약물 표적에 대해 세계 최초로 상용화된 '막단백질 약리 신호 예측 플랫폼'을 기반으로 초기 신약 후보 물질 발굴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고도화된 인공지능(AI) 기반 모델링, 도킹 및 분자동역학 기술을 활용한 신약 후보 물질 및 약물 표적 결합력 예측 기술을 확보하고 있다.
서울바이오허브는 협약에 따라 연구 공간과 공동 장비 등 인프라를 제공하고 전문 엑셀러레이터와 협력해 △기업 진단 △기술·사업화 컨설팅 △국내외 시장 검증 등 스타트업이 실질적으로 필요로 하는 맞춤형 지원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경준 대원제약 연구소장은 "서울바이오허브와 함께 추진하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은 제약 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하는 중요한 기반"이라며 "차세대 신약 개발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 성과를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말했다.
김현우 서울바이오허브 단장은 "대원제약과의 협력은 공공과 민간이 함께 유망 스타트업을 성장시키는 모범 사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기술력 있는 바이오 스타트업이 실질적인 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한편 서울바이오허브는 서울시가 조성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고려대학교가 공동 운영하는 바이오·의료 창업 혁신 플랫폼이다. 공공과 민간이 협력해 기술력 있는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고, 산업 전반의 개방형 혁신 생태계를 조성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