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최근 조지아주 현대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을 상대로 사상 최대 규모의 불법고용 단속을 벌여 논란이 일고 있는 것과 관련해 “투자를 원한다면서 보여주는 방식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비판이 나왔다.
블룸버그통신은 9일(현지시각) 칼럼을 통해 이번 조치가 미국 내 제조업 확대라는 백악관의 목표와 정면으로 충돌한다고 지적했다.
칼럼을 쓴 메리 엘렌 클래스 블룸버그 칼럼니스트는 “이번 단속은 미국 역사상 최대 규모의 단일 사업장 이민 단속으로 한국이라는 핵심 동맹국을 불필요하게 자극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특히 “트럼프 대통령이 몇 주 전 한국과 3500억 달러(약 48조4700억 원) 규모의 무역 협정을 체결한 직후”였다는 점을 강조하며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적 일관성이 결여됐다고 꼬집었다.
클래스 칼럼니스트는 트럼프 대통령이 공언해온 ‘제조업 부활’ 기조와도 이번 단속이 모순된다고 비판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 내 제조업 확대를 목표로 삼으면서도 정작 그 목표 달성을 위해 일하는 근로자들을 체포했다”고 지적했다. 클래스는 이어 “특히 한국인 근로자들이 수갑과 족쇄를 찬 채 영상으로 공개된 것은 한국 기업과 투자자들을 모욕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블룸버그는 이번 조치가 최근 수십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 계획을 발표한 한국 기업들의 의지를 약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칼럼은 “백악관이 해외 투자를 환영한다고 하면서도 정작 보여주는 방식은 정반대”라며 “이런 모순은 향후 미국 내 투자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현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oc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