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00개 일자리 창출 계획 차질…배터리 공장 가동 최소 3개월 지연
지역사회 생계 흔들리고 외국인 근로자 불확실성 지속
지역사회 생계 흔들리고 외국인 근로자 불확실성 지속

가족과 지역사회를 덮친 위기
지역사회는 즉각 혼란에 빠졌다. 조지아의 비영리단체 '그로우 이니셔티브'는 "생계부양자가 하루아침에 구금되면서 분유와 식료품조차 구하지 못하는 가정이 속출한다"고 전했다. 일부는 합법적 취업 허가를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단속 대상에 포함돼 불신을 키웠다. 단속 과정에서 일부 근로자들은 환풍구와 공장 구석, 심지어 하수구에 숨기도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번 억류를 "투자 기업과 국민의 권리를 부당하게 침해한 행위"라며 강력히 규탄했다. 국내외 언론들은 이 사태를 "한미 동맹에 대한 굴욕적 배신"으로 묘사했다.
조현 외교부 장관은 워싱턴을 찾아 마르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과 긴급 회담을 진행했고, 협상 끝에 한국인 300여 명은 7일 만에 석방돼 대한항공 전세기를 통해 귀국했다. 그러나 비한국인 200여 명은 여전히 구금 상태이거나 행방이 묘연해 인도적·법적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경제적 파급효과와 투자 신뢰 훼손
현대차 글로벌 COO 호세 무뇨스는 "숙련 인력의 공백으로 최소 2~3개월 가동 지연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현대차와 LG에너지솔루션 합작 공장은 약 85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계획이었지만, 이번 사태로 조지아 경제의 핵심 동력이 큰 차질을 빚게 됐다. 더구나 불과 두 달 전, 한국은 35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신규 투자를 약속한 바 있어 한국 재계는 "미국이 외국 자본을 유치한 뒤 전문가를 희생시키는 '미끼와 속임수'가 아니냐"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특정 국가를 겨냥한 단속은 아니며 동맹은 견고하다"고 해명했지만, 수갑을 찬 한국인 근로자들의 모습은 한미 관계의 신뢰에 깊은 상처를 남겼다. 이번 사태는 조지아 지역 경제와 글로벌 투자 흐름에 그림자를 드리우며, 동맹 관계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의문을 던졌다. 양국 정부가 후폭풍 진화에 나서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건이 비자 제도와 이민 정책 개혁의 기폭제가 되어야 한다"고 지적한다.
박정한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park@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