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 임상결과 공개
NEJM과 EASD에서 공개…감량 및 혈당저하 확인
관련자료들 FDA에 제출 내년 중 승인으로 전망
NEJM과 EASD에서 공개…감량 및 혈당저하 확인
관련자료들 FDA에 제출 내년 중 승인으로 전망

21일 글로벌제약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라이 릴리는 국제학술지인 뉴잉글랜드저널(NEJM)과 유럽당뇨병연구협회(EASD)에서 경구용 비만치료제 오포글리프론의 임상결과를 공개했다.
캐나다 워튼 메디컬 클리닉의 션 워튼 박사 연구진은 오포글리프론을 72주간 투여한 연구 결과를 NEJM에 게재했다. 해당 임상은 3127명을 대상으로 매일 복용하는 내용이다.
오포글리프론은 일라이 릴리가 지난 2018년 쥬가이제약으로부터 기술 도입한 후 비만 치료제로 개발했다. 이 약은 노보 노디스크의 위고비와 같은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GLP)-1 호르몬 제제다.
참가자들은 각각 6㎎, 12㎎, 36㎎의 오포글리프론을 매일 1회 알약으로 72주간 복용했다. 그 결과 각 용량군 별로 7.5%, 8.4%, 11.2%의 체중감량 효과가 확인됐다.
특히 가장 고용량을 복용한 환자 중 몸무게가 10%이상 줄어든 환자는 약 55%였으며 15% 이상 감소한 환자는 36%, 체중이 20%이상 줄어든 환자는 18%였다. 참가자들은 허리 둘레가 줄었고 일부 콜레스테롤 수치도 줄었다.
일부 참가자들 중에서는 중증도 위장관 부작용이 나타났다고 연구진은 전했다.
또한 일라이 릴리는 EASD에서도 NEJM에서 공개한 연구결과 외에도 아카이브-3의 연구데이터를 공개했다. 해당 임상은 메트포르민으로 혈당이 조절되지 않는 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오포글리프론과 경구용 세마글루타이드 비교하는 방식이다.
아카이브-3 임상결과를 살펴보면 임상 1년차에 오포글리프론을 12㎎, 36㎎용량으로 투약한 결과 환자들의 당화혈색소가 각각 1.9%, 2.2% 낮아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세마글루타이드 7㎎, 14㎎보다 각각 0.7%포인트(P), 0.8%P 높은 수치다.
고용량을 투약했을 경우 오포글리프론을 투약한 환자 37.1%의 당화혈색소가 5.7%미만을 달성한 반면 세마글루타이드 최고용량군의 비율은 12.5%에 불과하다고 일라이 릴리는 설명했다. 이를 통해 당뇨병 환자들에게도 효과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라이 릴리는 해당 데이터들을 미국 식품의약국(FDA)에 제출했으며 이르면 내년부터 승인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재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iscezyr@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