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사건 여파…동남아 노선 '심리 한파'
핵심 시장 흔들리면 LCC 수익성 직격탄
유가·환율 이중고 속 구조조정 불가피
핵심 시장 흔들리면 LCC 수익성 직격탄
유가·환율 이중고 속 구조조정 불가피
이미지 확대보기3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동남아 노선 여객 수는 전년 동기 대비 8% 줄었다. 리오프닝 특수를 누리던 시장이지만 8개월 연속 감소세다. 반면 일본과 중국 노선은 각각 8%, 18% 증가하며 회복세를 보였다. 캄보디아 사태 이후 단체 여행 취소가 잇따르며 '심리적 수요 급랭'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문제는 동남아가 LCC의 매출 절반을 차지하는 핵심 시장이라는 점이다. 인천공항 기준 LCC 국제선 여객의 약 80%가 일본·동남아 노선에서 발생한다. 수요가 위축되면 곧바로 수익성 악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원론적으로 항공산업에서 수요 위축 → 좌석 공급 과잉 → 단가 하락 악순환이 발생할 수 있다"며 "즉 동남아 노선에 편중돼 있는 LCC의 경우 더 타격이 클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황 교수는 "중·장기적으로는 이러한 여행 기피 흐름이 지속된다면 LCC 비즈니스 모델 자체에 구조적 압박이 생길 수 있다. 예컨대 경쟁심화로 수익성 확보가 어려워지면 LCC의 전반적인 노선 전략을 다시 짜야 할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황 교수는 "수요가 떨어질 가능성이 있는 노선의 공급을 빠르게 줄이거나 운항 횟수를 조정하는 방식으로 변동비 부담을 낮출 수 있다"면서 "성수기, 비성수기 시점의 운항 패턴을 재검토해 좌석공급 효율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황 교수는 "항공유 비용 상승 리스크에 대비해 헤지 전략을 강화하거나 장기계약을 통한 가격 안정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며 "부가서비스(프리미엄 좌석·기내 유료 서비스)를 확대해 수익성을 높이는 것도 대응책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나연진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rachel0807@g-enews.com













![[뉴욕증시] AI 거품 우려 속 3대 지수 하락](https://nimage.g-enews.com/phpwas/restmb_setimgmake.php?w=270&h=173&m=1&simg=2025110506200507526be84d87674118221120199.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