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ETF 5개 뉴욕증시 동시 출현 "SEC 암호화폐 자동 승인"...로이터

글로벌이코노믹

리플 ETF 5개 뉴욕증시 동시 출현 "SEC 암호화폐 자동 승인"...로이터

프랭클린 XRP 트러스트(XRPZ), 21셰어스(TOXR), 비트와이즈 ETF(XRP), 카나리(XRPC), 코인셰어스(XRPL)
리플 갈링하우스 이미지 확대보기
리플 갈링하우스
리플 ETF 5개 뉴욕증시 동시 출현 "SEC 자동 승인"...로이터

엑스알피(XRP) 현물 ETF가 본격적인 출시 초읽기에 들어갔다. 미국 예탁청산공사(DTCC) 웹사이트에 관련 상품 5종이 모두 등재되면서, 이달 중 시장 데뷔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업계는 정부 셧다운 종료와 맞물려 승인 절차가 속도를 낼 것으로 보고 있다.

11월 10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 매체 코인게이프에 따르면, DTCC 데이터에는 프랭클린 템플턴(Franklin Templeton), 비트와이즈(Bitwise), 카나리 캐피털(Canary Capital), 코인셰어스(CoinShares), 21셰어스(21Shares) 등 5개 자산운용사의 XRP 현물 ETF가 모두 등록됐다. 등록된 상품은 프랭클린 XRP 트러스트(XRPZ), 21셰어스(TOXR), 비트와이즈 ETF(XRP), 카나리(XRPC), 코인셰어스(XRPL) 등이다. 통상 DTCC 등재는 거래와 청산 절차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섰음을 의미한다.

이들 운용사는 나란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수정 서류를 제출하며 막바지 절차에 돌입했다. 프랭클린 템플턴은 최근 수정된 S-1 서류에서 승인 조건 충족 시 자동 효력이 발생하도록 조항을 변경했다. 비트와이즈 역시 최종 수정안을 제출했으며, 카나리 캐피털은 ‘지연 수정 조항’을 철회해 나스닥의 8-A 서류 검토만 완료되면 자동 발효가 가능해졌다. 분석가들은 일부 상품이 이번 주 내 출시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뒤이어 코인셰어스와 21셰어스도 잇달아 신청을 마무리할 예정으로, 단일 월 내 다수의 XRP ETF가 동시에 상장되는 첫 사례가 될 가능성이 높다. 블룸버그 ETF 분석가 제임스 세이파트(James Seyffart)는 “이번 움직임은 XRP ETF 시장의 본격 개화를 알리는 신호”라고 평가했다.

SEC 리플 EFF 마침내 "자동 승인" 뉴욕증시 11월27일 운명의 날... 암호화폐 BTC ETH XRP 3파전

미국 증권관리위원회 SEC가 리플 EFF를 마침내 승인절차에 돌입했다. 뉴욕증시에서는 암호화폐와 리플이 11월27일 운명의 날을 맞고 있다고 보고있다. 뉴욕증시 ETF 는 암호화폐 BTC ETH XRP 3파전올 새롭게 재편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에 이어 엑스알피(XRP)가 뉴욕증시 ETFDML 새로운 주인공으로 부상하고 있다.이번 ETF 승인은 XRP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변수가 될 전망이다. ETF가 통과될 경우 개인 및 기관투자자가 토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규제된 방식으로 XRP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딩뉴스는 “ETF 승인 시 XRP의 유동성이 대폭 확대되고, 거래 위험이 줄어드는 동시에 전통 금융시장과의 연결성이 강화될 것”이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 이후 유입된 기관 자금이 XRP에도 비슷한 파급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10일 뉴욕증시에 따르면 리플(XRP)이 신 기원을 맞고 있다. ETF(상장지수펀드) 승인이 또 한번 리플을 끌어올리고 있다. 21Shares는 11`월7일 현물 XRP ETF 수정안을 제출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현물형 XRP ETF S-1 수정안 3호를 제출했다 이로써 20일간의 검토 절차가 개시되었다. 여기에 SEC가 이의 제기를 하지 않을 경우, 해당 ETF는 이달 27일경 공식 승인 및 자동 상장된다. XRP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이어 세 번째 현물형 암호화폐 ETF 로 등장한다.

ETF 승인 기대감 외에도 리플랩스(Ripple Labs)의 대규모 자금 조달도 주목된다. 리플은 최근 6억6600만 달러 규모의 투자 라운드를 완료했다. 를 통해 결제 인프라 확장 및 파트너십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라운드에는 북미와 유럽의 대형 벤처캐피털, 금융기관이 참여했다. 21Shares의 ETF 수정안 제출은 리플 생태계가 비트코인·이더리움에 이어“세 번째 제도권 결제용 코인”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리플랩스의 6억 달러대 자금 조달은 실제 사업 확장력과 시장 신뢰도를 입증하는 지표로 평가된다.ETF 심사 결과와 함께 11월 말은 XRP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시장 전망을 밝히는 요인은 정치적 환경 변화다. 미국 상원이 셧다운을 해제하는 초당적 예산안을 통과시키면서, SEC를 비롯한 연방기관의 정상 운영이 재개됐다. 지난달 SEC는 셧다운 기간 동안 신규 금융상품의 심사 및 승인 절차를 전면 중단한 바 있다. 정부 재가동으로 XRP ETF를 포함한 대기 중인 상품들이 다시 심사 궤도에 오르게 됐다.

한편 레버리지 기반 상품인 테우크리움(Teucrium) 2배 롱 데일리(XXRP)와 렉스-오스프리(Rex-Osprey, XRPR)는 이미 시장에서 1억 달러 이상의 운용자산(AUM)을 확보하며 투자자 유입이 늘고 있다. 업계는 다섯 개의 현물 XRP ETF가 모두 승인될 경우, 리플(XRP) 생태계 확산의 결정적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리플(XRP)이 24시간 기준 3.87% 상승하며 2.32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 평균 상승률(+1.23%)을 상회하는 수준이다. 시장에서는 ETF(상장지수펀드) 승인 기대감, 기술적 반등, 그리고 기관 투자자의 대규모 자금 움직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고 있다.

XRP 가격 상승을 견인한 핵심 요인은 21Shares의 현물 XRP ETF 수정안 제출이다.21Shares는 11월 7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현물형 XRP ETF S-1 수정안 3호를 제출했으며, 이로써 20일간의 검토 절차가 개시되었다.

SEC가 이의 제기를 하지 않을 경우, 해당 ETF는 이달 27일경 공식 승인 및 상장될 가능성이 있다. 이는 XRP가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이어 세 번째 현물형 암호화폐 ETF 후보로서 제도권 편입을 앞두고 있음을 의미한다.

ETF 승인 기대감은 투자 심리를 자극하며, XRP의 거래량을 하루 만에 약 18% 끌어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기술적 측면에서도 단기 반등 여건이 형성됐다.지난주 XRP는 7일간 약 8% 하락하며 RSI(상대강도지수) 기준 35 이하로 과매도 구간에 진입했다.

이에 단기 저점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기술적 반등이 발생했다.

시장 분석업체 Santiment는 “XRP의 단기 투자자 포지션이 지나치게 축소된 구간에서 저가 매수가 유입됐다”며 “ETF 승인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매수세가 일시적으로 집중됐다”고 분석했다.

ETF 기대감 외에도 리플랩스(Ripple Labs)의 대규모 자금 조달이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다.리플은 최근 6억6,600만 달러(약 9,100억 원) 규모의 투자 라운드를 완료했으며,이를 통해 결제 인프라 확장 및 파트너십 확대에 나설 계획이다

이번 라운드에는 북미와 유럽의 대형 벤처캐피털, 금융기관이 참여한 것으로 전해졌다.시장 관계자는 “리플의 자금 조달 성공은 장기적 성장성과 스테이블코인 RLUSD 결제 생태계 확장에 대한 신뢰를 방증한다”고 평가했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Whale Alert에 따르면, 11월 초부터 다수의 대규모 XRP 이체가 포착됐다.특히 1억 XRP 이상 규모의 이동이 여러 차례 발생했으며,이 중 일부는 거래소 출금 패턴으로 확인되어 기관 매수세 유입 가능성이 제기되었다.이는 ETF 관련 낙관론과 맞물려 시장 내 공급 감소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반면 일부 보수적 전망에서는 “ETF 지연 가능성도 여전히 존재하며, 단기 과열 신호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XRP의 상승세는 단순한 기술적 반등을 넘어, 제도권 편입 기대감이 시장 참여 심리에 직접 작용한 사례로 해석된다.21Shares의 ETF 수정안 제출은 리플 생태계가 비트코인·이더리움에 이어“세 번째 제도권 결제용 코인”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리플랩스의 6억 달러대 자금 조달은 실제 사업 확장력과 시장 신뢰도를 입증하는 지표로 평가된다.ETF 심사 결과와 함께 11월 말은 XRP의 단기 방향성을 결정할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리플(Ripple)이 5억 달러 규모의 투자 유치와 마스터카드(MasterCard)와의 협력을 동시에 발표하며 월가 중심의 확장 전략을 본격화했다. 그러나 엑스알피(XRP) 투자자들은 이번 행보에서 소외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11월 6일(현지시간) 암호화폐 전문매체 AMB크립토에 따르면, 리플은 여섯 개 기관투자자로부터 5억 달러 규모의 전략적 투자를 유치하며 기업가치를 400억 달러로 끌어올렸다. 이는 암호화폐 업계에서 손꼽히는 대형 비상장 기업 수준으로, 시가총액 기준 S&P500 상위 250위 기업에 필적하는 규모다.

리플은 동시에 자사의 스테이블코인 RLUSD를 활용한 결제 네트워크를 확장하기 위해 마스터카드와의 협업을 공식화했다. 이번 협력으로 마스터카드 결제의 백엔드 정산 과정이 엑스알피 레저(XRPL) 상에서 RLUSD를 통해 즉시 처리될 수 있게 된다. 리플은 이를 통해 RLUSD 시장 확대와 실시간 결제 네트워크의 주류화를 동시에 추진할 계획이다.

XRP 투자자 입장에서는 이번 행보가 불편한 신호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온체인 데이터에 따르면 전체 XRP 공급량 중 이익 구간에 있는 물량은 65%로, 12개월 만의 최저치를 기록했다. 특히 선거 국면 당시 3.35달러 부근에서 매수한 투자자 상당수가 손실 상태에 머물러 있다.

또한 공동 창립자 크리스 라슨(Chris Larsen)은 3분기 중 6,000만 XRP를 매도하며 보유량을 23억 5,000만 개로 줄였다. 이는 리플랩스의 기업가치를 높이기 위한 자금 조달 성격이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반면 리플은 10억 달러 규모의 자사주 매입을 계획하고 있으나, 이는 XRP 토큰이 아닌 회사 주식을 대상으로 하고 있어 투자자들의 불만이 이어지고 있다.

결국 리플은 기관 신뢰 확보와 기업가치 상승이라는 성과를 얻는 반면, XRP 보유자들은 수익 측면에서 뚜렷한 혜택을 얻지 못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리플이 월가 중심의 확장을 위해 XRP 매도를 이어갈 경우, 토큰 보유자들이 추가적인 희생을 감수해야 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에 이어 엑스알피(XRP)가 새로운 주인공으로 부상하고 있다. 리플(Ripple)이 5억 달러 규모의 신규 자금 조달을 마치고 기업가치 400억 달러를 인정받은 가운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21셰어스(21Shares)의 XRP 상장지수펀드(ETF) 승인 여부를 이달 27일 결정할 예정이어서 가격 상승 기대가 고조되고 있다.

11월 9일(현지시간) 투자 전문매체 트레이딩뉴스에 따르면, XRP는 2.27달러선에서 거래되며 주간 기준 7.73% 하락했지만 여전히 시가총액 상위권을 지키고 있다. 투자자들은 이번 ETF 심사를 계기로 XRP가 기관 자금의 유입 통로를 확보해 4달러에서 최대 1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을 주목하고 있다.

리플은 최근 포트리스 인베스트먼트 그룹(Fortress Investment Group)과 시타델 시큐리티즈(Citadel Securities)가 주도한 5억 달러 자금 유치에 성공했다. 이로써 기업가치는 약 400억 달러로 평가됐으며, 회사는 상장(IPO) 계획이 없다고 공식 확인했다. 리플의 프라임 플랫폼(Ripple Prime)은 기관투자자를 위한 장외거래(OTC) 인프라를 제공하며, 리플 스테이블코인 RLUSD와 주요 자산을 결제 네트워크에 통합하고 있다. 이 플랫폼은 히든로드(Hidden Road)의 트레이딩 시스템과 지트레저리(GTreasury)의 재무관리 기능을 결합해 금융기관과 결제회사의 유동성 접근성을 크게 높였다.

이번 ETF 승인은 XRP 시장 구조를 근본적으로 바꿀 변수가 될 전망이다. ETF가 통과될 경우 개인 및 기관투자자가 토큰을 직접 보유하지 않고도 규제된 방식으로 XRP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트레이딩뉴스는 “ETF 승인 시 XRP의 유동성이 대폭 확대되고, 거래 위험이 줄어드는 동시에 전통 금융시장과의 연결성이 강화될 것”이라며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ETF 이후 유입된 기관 자금이 XRP에도 비슷한 파급력을 미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기술적 측면에서 XRP는 2.00~2.60달러 구간에서 박스권을 형성하고 있다. 하단 2.24달러 지지선이 단기 하락 방어선으로 작용하며, 2.60달러를 돌파하면 3.80~4.20달러대까지 상승 여력이 열릴 것으로 전망됐다. 반대로 모멘텀이 약화될 경우 1.95달러까지 후퇴할 가능성도 있다. 거래량은 전주 대비 22% 줄어 투자자들이 ETF 결과를 관망하는 분위기다.

리플은 규제 명확성과 기관 네트워크 확대를 기반으로 ‘비금융권 결제 인프라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 SEC 소송 승소 이후 XRP는 미국과 유럽 시장에서 비증권 자산으로 분류되며 제도권 결제망 진입 장벽이 낮아졌다. 리플은 RLUSD를 기반으로 마스터카드·블랙록·반에크 등과 실물자산토큰화(RWA) 프로젝트를 추진 중이며, 향후 글로벌 RWA 결제 시장의 1%만 확보해도 XRP 가치는 10달러 수준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출처: 리플 5억 달러 투자·ETF 심사 D-18…XRP ‘4달러 시나리오’ 점화-코인리더스 - https://www.coinreaders.com/197625

인공지능(AI) 업종 주식의 고평가 논란에 지난주 미국 증시에서 나스닥 종합지수가 7개월 만에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지난 7일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한 스크린에 나오는 나스닥 시황. [사진=AP=연합뉴스]

지난 7일 뉴욕 타임스스퀘어의 한 스크린에 나오는 나스닥 시황. [사진=AP=연합뉴스]

8일(현지시간) 미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지난주(3∼7일) 뉴욕증시에서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 하락했다. 지난 4월 초 '미국 해방의 날' 관세 계획 발표 여파로 10% 급락했던 이후 최대 낙폭이다.

AI 대표 종목들의 주가가 일제히 흔들렸다. 실적을 발표한 팔란티어가 11% 급락했고, 오라클(-9%), 엔비디아(-7%), 메타(-4%), 마이크로소프트(-4%) 등도 줄줄이 하락했다.

이들 종목을 포함한 AI 관련 상위 8개 종목의 시가총액은 지난 한 주간 약 8000억달러(약 1166조원) 줄었다.

지난달 29일 사상 처음으로 시총 5조달러를 돌파했던 엔비디아는 이 기간 시총 약 3500억달러(약 510조원)가 증발했다.

AI 열풍과 낙관적인 경제 전망에 힘입어 지난달 하순까지도 연일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던 나스닥은 AI 거품론이 재점화하고 경제 전반에 악재가 드리우면서 급격히 식었다.

최근 미 연방정부의 '셧다운'이 역대 최장 기록(36일)을 갈아치운 데다, 주요 경제지표 발표가 중단되면서 투자자 불안이 커졌다.

여기에 높은 주가 밸류에이션(가치평가), 소비심리 악화, 기업 감원 확대 소식 등이 시장 분위기를 더욱 위축시켰다.


김대호 글로벌이코노믹 연구소장 tiger8280@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