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부산 동의대 산하 연구센터 ‘성희롱’ 논란... 이유는?”

글로벌이코노믹

[초점] “부산 동의대 산하 연구센터 ‘성희롱’ 논란... 이유는?”

부산 동의대학교 산하 연구센터에서 성희롱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동의대학교 정문 모습. 사진=강세민 기자이미지 확대보기
부산 동의대학교 산하 연구센터에서 성희롱 주장이 나와 파문이 일고 있다. 동의대학교 정문 모습. 사진=강세민 기자
“무섭지만 용기를 냈다. 더구나 장래를 약속한 사람과 함께 겪는 성희롱은...”

부산 동의대학교 산하 한 연구센터에서 벌어진 ‘성희롱 논란’이 수면 위로 떠올랐다.

11일 글로벌이코노믹 취재를 종합하면 성희롱 논란의 내막은 이렇다.

처음 이 문제를 제기한 사회 초년생인 A 씨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성희롱)문제 제기 후, 오해를 풀 수 있는 (센터)사과문과 적절한 징계 조치만을 원했다”라며, 그러나 ‘문제를 잘 해결하겠다’라는 대학 측의 말을 믿고 퇴사(권고사직)했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이후 인권센터에서 가해자 성희롱 인정과 2차 가해 인정까지 결과가 나왔지만, 저에 대한 그 어떤 사과도 없었고, 무슨 징계가 내려졌는지 전달받지 못했다. 정보공개 후 알게 되었다”라며 “오히려 제가 ‘직원 간 불화 조장’, ‘과도한 연봉 인상 주장’을 한다는 (사직서 내용)터무니없는 학교 측의 대응을 보면서 반대로 저는 용기를 낼 수 있게 되었다”고 이번 사건을 전했다.

피해 연구원 A 씨 “상급자 지속 성희롱, 장래를 약속한 여친 앞에서...”


사회 초년생인 연구원 A 씨는 센터에 근무하면서부터 상급자인 여성 연구원 B 씨로부터 지속적인 성희롱을 당했다고 주장했다.

A 씨는 “(성희롱)문제가 발생할 때마다 직간접적으로 내부에 알렸지만 사건이 축소·은폐되었다”라며 “당시 장래를 약속한 같은 연구원이 있는 자리에서도 성희롱이 자행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센터 책임자들은 물론, 센터와 관련이 없는 C 전 교수 등이 갑자기 들어와 사태를 무마하려는 분위기 등으로 2차 피해까지 입었다. 학교에서는 그 어떤 보호 장치도 작동하지 않았다”고 토로했다.

또 그는 학교 측이 그가 퇴사 당시 고마워하며 퇴사했다는 주장에 대해 “성희롱 문제에 대해 처음엔 학교도 나름 적극적이라 판단했고, 무엇보다 학교를 믿었다. 잘 해결될 줄 알았다. 하지만 퇴사 이후 상황은 제보한 것과 같이 학교는 철저한 외면으로 일관했다”고 고개를 저었다.

학교 측 “신고인의 주장일 뿐... 과장되고 문제 있어”


반면 동의대학교 측은 A 씨의 주장이 다소 과하고 문제가 있다는 입장이다.

대학 측은 ‘A 씨가 진정을 지속적으로 묵살했다’는 부분을 부인하며 “2023년 9월 A 씨가 센터장과 부센터장에게 면담을 요청, 이 과정에서 성희롱 주장을 인지했고 상부에 보고했다”라고 주장했다.

또 ‘센터가 사건을 축소 및 은폐하려 했다’라는 주장에 대해서는 “당시 신고인의 주장일뿐 (성희롱) 구체적인 증빙이나 증거가 없었다. 센터장이 자체 조사를 진행했지만, 이후 A 씨가 사직 의사를 밝히며 출근하지 않아 내용을 자세히 파악할 수 없었다. 축소·은폐 주장은 인정할 수 없다”며 “이후 여성가족부나 인권센터로부터 감사를 받고 처리한 사건”이라고 해명했다.

아울러, C 전 교수의 은폐 축소 시도에 대해서도 “확인된 바 없다”며 부인했다.

특히, 센터 한 관계자는 “처음 상담 자리에서 A 씨는 ‘일에 비해 월급이 적다’ 등의 불만을 말하다가 상담 말미쯤에 ‘어딘가에 찔렸다’ 등의 성희롱을 문제 삼았고, 즉시 “신고할 것을” 권유했다”라며 “학교는 최선을 다해 대응했다. 하지만 자꾸 일을 만드는 측면이 있다”라고 못마땅한 반응을 보였다.

한편, 동의대 측은 성희롱 사건이 공론화되자 최근 징계위원회를 꾸린 뒤 센터장에게 ‘신고 의무 미흡’ 등의 사유로 견책 처분을 내렸다.

전문가들은 “성희롱 사건의 구제 조치가 미흡할 경우, 피해자의 정신적·신체적 트라우마는 엄청나다. 사회가 나서 정확한 재조사와 이에 상응하는 조치가 반드시 필요한 상황”이라며 “피해자 구제 미흡은 ‘남녀평등고용법’에서 말하는 사회 정의와 평등을 훼손하는 심각한 법치 위반 문제”라고 전했다.


강세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semin382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