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 3분기 당기순익 1651억 ‘3개 분기 연속 흑자’… 연체율 개선

글로벌이코노믹

저축은행 3분기 당기순익 1651억 ‘3개 분기 연속 흑자’… 연체율 개선

“턴어라운드 앞서 내부역량 제고 노력”
저축은행들이 3개 분기 연속 흑자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 확대보기
저축은행들이 3개 분기 연속 흑자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저축은행들이 3개 분기 연속 흑자행렬을 이어가고 있다. 자본시장을 중심으로 금융시장이 회복세를 보이면서 연체율도 지속 내림세를 보였다.

저축은행중앙회는 저축은행 업권 결산결과 3분기 당기순이익이 1651억원으로 집계됐다고 13일 밝혔다.

대출금리 하락 및 여신 감소로 이자이익 규모는 전분기와 같았지만, 대손충당금 전입규모가 감소하고 부실채권 정리 및 선제적 충당금 적립 효과가 발생하면서 흑자가 이어졌다고 중앙회는 설명했다.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지난 1분기 9000억원에서 2분기와 3분기 각각 7000억원으로 감소했다.

3분기 누적 당기순이익은 4221억원이다. 지난 1분기 440억원을 시작으로 2분기 2130억의 흑자를 쌓으면서다.
저축은행들의 3분기 이자이익은 총 1조3506억원이다. 이자수익이 2조2135억원, 이자비용이 8629억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3분기 연체율은 전 분기(7.53%) 대비 0.63%포인트(P) 하락한 6.9%로 집계됐다. 기업대출 연체율은 이 기간 1.25%P 개선된 9.57%를 기록했으며 가계대출은 0.16% 오른 4.76%로 집계됐다. 연체율은 1분기 9%에서 꾸준히 하락하고 있다.

3분기 고정이하여신(NPL) 비율은 전 분기(9.49%) 대비 0.7% 개선된 8.79%로 나타났다.

저축은행들의 총자산은 124조9000억원으로, 전 분기보다 6조1000억원 증가했다. 총여신은 대출 취급 감소로 동기간 1조5000억원 감소한 93조4000억원으로, 수신은 4분기 수신 만기에 대비한 사전 예금 유치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5조5000억원 증가한 105조원으로 각각 집계됐다.

중앙회는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로 자산 건전성이 회복되며 수익성도 개선되고 있지만, 가계부채 관리강화 기조 및 부동산 시장 불확실성 증대로 영업상 제약 요인이 상존한다고 밝혔다.
이에 중앙회는 영업확대보다는 선제적 충당금을 쌓는 방향으로 리스크 관리 강화에 중점을 두겠다는 방침이다.

중앙회 관계자는 “본격적인 턴어라운드에 앞서 체질 개선을 통한 내부 역량 축적에 우선순위를 두고 온투업 연계 대출 확대, 대안신용정보 확충 등의 신용평가 역량 제고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민지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mj@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