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1400년 전 일본에 백제예술 전해준 무용가 미마지에게 바치는 창작무용극

공유
8

1400년 전 일본에 백제예술 전해준 무용가 미마지에게 바치는 창작무용극

[무용리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2015년 8월 6일(목) 오후 8시, 국립극장 달오름극장에서 초연된 국수호(鞠守鎬) 연출, 안무, 출연의 『미마지의 무악(味摩之의 舞樂)』은 백제예능인 미마지(味摩之)가 1400년 전 일본에 전해준 기악(伎樂)을 모티브로 국수호의 상상력이 직조된 감동의 판타지였다. 춤의 원형을 찾아 고민한 흔적이 보이는 이 작품은 초견(初見), 초안(初按)이라는 겸허한 자세에서 출발한다.

안무가 국수호는 한일 수교 50주년을 기념하여, ‘한일 춤문화 1400년간의 인연’을 찾아 사쿠라마 우진(櫻間右陣)의 노(能) 이즈츠 『井筒』를 초청하고 1400년 전 백제 미마지의 춤을 선보였다. 그는 미마지의 춤이 일본 궁중무용 부가쿠(舞樂)로 발전되었다고 결론을 내린다. 중국에서 사라진 공자 제례를 한국에서 찾아내듯 그는 일본에서 미마지의 흔적을 찾아낸다.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미마지의 무악』은 ‘아스카(飛鳥) 벽화속의 남녀’, ‘미마지(味摩之)’, ‘성덕태자(聖德太子), 미마지’, ‘미마지의 고뇌-무악(舞樂)의 길’, ‘무악(舞樂)Ⅰ, 가루라(迦樓羅)의 춤-금시조무(金翅鳥舞)’, ‘무악(舞樂)Ⅱ-신무(神舞)’, ‘무악(舞樂)Ⅲ-비조무(飛鳥舞)’로 구성되어 있다. 안무가는 미완의 구성을 다음의 완성을 위한 고귀한 숙명으로 남겨둔다고 했다.

‘아스카(飛鳥) 벽화속의 남녀’. 일본 아스카(飛鳥) 고분 벽화의 모습 그대로 복원한 화려한 의상과 긴 부채를 들고 네 궁녀가 등장한다. 생황의 청아, 공후의 느린 여운이 춤을 감싸며, 몽환의 춤은 달의 여인과 해의 남자로 음양(陰陽)의 합이 이루어지며 우주가 되어 한 몸이 된다. 원형의 모습을 보여준 ‘노’의 심오함에서 눈을 번쩍 띠게 하는 장면이었다.

‘미마지(味摩之)’. 국수호의 독무로써 ‘우주의 기(氣) 한가운데에서 인신(人神)이 되어 땅의 기운을 하늘과 사방에 뿜어내는’ 위용을 갖춘다. 푸른 신비를 담고 작고 아담한 빨간 장고를 목에 걸고 등장한 그는 느리지만 강력한 무력(舞力)으로 범상치 않은 스승의 모습을 보인다. 망국의 춤길은 험하고, 자신의 완성이 존재가치를 인정받는 길임을 깨닫는다.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성덕태자(聖德太子), 미마지’. 극진한 예우와 수용의 자세를 보인 장(場)이다. 일본 중요무형문화재 노(能) 종합지정 보유자이자 인간국보 사꾸라마 가문의 21대 당주인 곤파루류(シテ方金春流) 노 악사 사쿠라마 우진(櫻間右陣)이 쇼토쿠 태자로 출연, 미마지와의 만남은 감동이다. 두 아들이 미마지에게 보내는 존중의 눈길이 그윽하다.

‘미마지의 고뇌-무악(舞樂)의 길’. 춤 길을 하사받은 미마지는 아스카 지역의 사쿠라이(櫻井) 언덕에 토무대(土舞臺)를 만들어 놓고 귀족 자제들에게 춤, 노래, 음악을 가르친다. 무악을 완성하기 위한 다양한 자세, 조재혁, 김병조를 비롯한 육무사(六舞士)의 수련 장면은 눈물겹다. 백색 주조의 의상에 빨간 띠, 비파 등의 악기들의 생동감 있는 음악이 분위기를 고조시킨다.
‘무악(舞樂)Ⅰ, 가루라(迦樓羅)의 춤-금시조무(金翅鳥舞)’., 인도, 중국, 한국을 거쳐 일본에 정착했다는 전설의 새 가루라(금시조·金翅鳥)의 춤이다. 조재혁의 독무로 이루어진 춤은 황금색 베이스의 붉은 띠의 의상으로, 인간의 몸체에 독수리의 외형을 갖고 있다. 놀라운 기교의 춤, 노란 달, 황금 날개 등 상징적 의미의 영역 설정은 국수호가 만들어낸 상상의 세계이다.

‘무악(舞樂)Ⅱ-신무(神舞)’. 국수호의 독무인 ‘신무’는 기(氣)를 운용하는 춤으로 들숨과 날숨에 정적을 이루며 몸의 선을 만들고, 그 숨에 선을 이는 신적 움직임을 보여준다. 백색 주조와 가벼운 청색으로 구성된 의상에 스펙터클한 음악에 맞춘 춤은 부드럽게 흐르는 구름을 걷는 듯한 신의 춤을 만들어 낸다. 하늘에는 별이 반짝이고 경건한 기원무로 신 춤을 창조한다.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이미지 확대보기
국수호 연출·안무·출연의 '미마지의 무악'
‘무악(舞樂)Ⅲ-비조무(飛鳥舞)’. 깊은 산, 솟대가 서있다. 녹색 판타지, 남성 다섯 명의 춤꾼이 만들어낸 ‘비조무’는 조상의 넋인 새가 편안히 깃들 집, 아스카(飛鳥)의 백제인의 자유로운 영혼의 새(비조, 飛鳥)를 무악의 특성인 ‘천지의 기’를 발산하는 형식으로 창작되었다. 잃어버린 춤을 찾은 기쁨과 무한 상상이 표출되는 대목이다.

일본 예술의 근본을 전한 인물인 백제의 무용가 미마지가 중국 오(吳)나라에서 배우고, 일본에서 가르치던 춤, 무악(舞樂)이 홀연히 남산에 나타나 여러 사람들의 가슴을 흔들어 놓는 감동을 낳았다. 미마지는 서기 612년 백제 무왕(武王)의 지시로 일본으로 춤과 기예를 전하러 갔었다. 미마지는 화려하게 귀환하였고, 우리의 품에 안겼다.

11월 12일 오후 일곱 시 일본 도쿄 국립 노(能) 극장에서 다시 공연될 이 작품은 역사에 걸쳐있는 춤 사상의 깊이, 기교와 배치 등 춤 수사의 화려함, 잊혀진 예술가에 대한 탐구, 의상, 출중한 기량의 춤꾼들의 진중한 춤 기교, 음악, 조명 등 춤 분위기 조성의 협업 예술가들의 협업이 낳은 명품 춤이다. 우리의 무관심으로 기억 속에 사라져간 예인에 대한 존중의 춤이다. 대한민국 1호 안무가의 차기작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지 기대된다.
장석용 글로벌이코노믹 문화전문위원(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 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