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형 원자로 핵심기술 해외유출 보도에 페이스북 통해 "과장 보도, 시시비비 가릴 것" 밝혀
사고때마다 탈원전 탓 지적에 "심한 표현" 반박..."공기업 수장으로 경솔한 행동" 비판 받기도
'한빛 1호기 사태' 때도 "환경단체 등에 강력 대응" 글 올렸다 삭제
사고때마다 탈원전 탓 지적에 "심한 표현" 반박..."공기업 수장으로 경솔한 행동" 비판 받기도
'한빛 1호기 사태' 때도 "환경단체 등에 강력 대응" 글 올렸다 삭제

18일 정 사장은 기술유출 의혹과 관련,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아무런 확인 없이 사실을 부풀려 대규모 기술이 유출된 것으로 보도됐다. 추후에 시시비비를 다시 분명하게 가리겠다"며 작심한 듯 불편한 심경을 드러냈다.
이어 "원자력 인력이 해외로 나가는 것은 원자력안전법상 부장급 이상 원전관계 공기업·연구기관 종사자는 3년간 국내에서 심사없이 취업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언급하며 "그나마도 2008년이든 2015년에 나갔다면 탈원전과 관계가 없다"며 이번 원전 유출 원인을 현 정부의 탈원전 정책과 결부시키는 분석에 정면반박했다.
정 사장의 SNS 글들은 전날인 17일 한국전력기술이 개발한 APR-1400 원자로 운영 소프트웨어 '냅스(NAPS)' 등 한국형 원전 핵심기술들이 미국과 아랍에미리트(UAE)에 유출됐다는 의혹을 제기한 일부 언론의 보도가 나온데 따른 반응이었다.
정 사장은 페이스북 글에서 "(원전기술 해외유출 의혹) 조사가 시작된다면 철저하고 신속하게 협조할 것"이라면서도 "이런 경우마다 꼭 등장하는 '탈원전 탓', '예고된 참사', '인력유출' 등 표현은 좀 심하게 느껴진다"고 털어놓기도 했다.
앞서 정 사장은 지난 5월 10일 발생한 '영광 한빛 1호기 수동정지 사태'와 관련, 같은 달 21일 역시 본인 페이스북에 "체르노빌 운운하며 한빛 1호기 사태의 위험을 부풀린 환경단체 등을 대상으로 강도 높은 대응에 나서겠다"는 글을 남겼다가 논란이 일자 해당 글을 삭제한 바 있다.
이같은 한수원 관련 중요 이슈가 터지자 소셜네트워크를 통해 비공식적인 견해를 여과 없이 표출한 정 사장의 대응에 일부 원자력안전업계는 '공기업 수장으로서 경솔한 행동'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김철훈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ch0054@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