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턴틀리모바일은 삼성전자가 지난달 22일자로 미국특허청 특허를 받았다고 전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2월 20일 ‘갤럭시 폴드’라는 이름의 1세대 폴더블폰 스마트폰을 공개했다. 이어 4월에는 AT&T를 통해 미국서 갤럭시 폴드 출시를 준비하고 있다가 미국 제품 평가자들로부터 갤럭시폴드의 결함을 지적받고 제품출시를 연기했다. 이런 가운데에서도 삼성전자가 미국 특허청으로부터 이른바 ‘아웃폴딩(Fold-Out)’방식 디자인 폴더블폰에 대한 특허권을 확보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같은 삼성전자의 이 아웃폴딩 방식 폴더블폰 디자인 특허확보는 최근 이종민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전략기획담당 상무가 새로운 형태의 폴더블폰 갤럭시 폴드의 경쟁력에 대한 삼성전자의 기대감을 재확인하면서 더욱더 관심을 끌고 있다. 이 상무는 지난 26일 서울 여의도에서 열렸던 삼성전자 인베스터스 포럼(Samsung Electonics Investors Forum)2019에서“정체된 스마트폰 시장에서 5G와 폴더블폰의 안정적인 시장 안착으로 새로운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삼성전자 폴더블폰 사업에 대한 기대감을 전했다.

즉,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첫 번째 측면을 지지하는 케이스와 플렉서블 케이스의 두 번째 측면을 지지하는 두 번째 케이스가 포함된다. 또 첫 번째케이스와 두 번째케이스를 연결하는 힌지(경첩), 그리고 폴더블폰이 펼쳐진 상태에서 접혀진 방향의 첫 번째케이스와 두 번째 케이스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잠금장치를 두고 있다.
잠금 장치는 첫 번째 케이스에 회전할 수 있도록 결합되고 두 번째 케이스에 미끄러지듯 결합되는 슬라이드 커버가, 그리고 두 번째 케이스에 회전해 올라가는 잠금레버가 장착되며, 잠금 레버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슬라이드 커버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슬라이드 커버는 첫 번째 케이스와 두 번째 케이스가 접이식 디스플레이 단말기 이동에 따라 회전할 때 두 번째 케이스의 레일 홈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다. 레일 홈을 따라 슬라이드 커버의 이동이 막힐 때 첫 번째 케이스와 두번째 케이스의 회전이 억제된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특허를 부여받은 디자인 고안은 한국에서는 지난 2015년 12월, 미국에서는 지난해 3분기에 특허출원됐다.
이재구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jklee@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