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내년 경제성장률을 올해보다 높은 2.4%로 제시했다.
수출이 증가로 전환, 경상수지 흑자 폭이 소폭 확대되고 취업자 증가 폭은 25만 명으로 예상했다.
정부는 19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확대경제장관회의를 열고 내년 경제전망을 확정했다.
이는 지난 7월 발표한 2019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보다 0.4∼0.5%포인트 낮춘 것이다.
정부는 또 내년 경제성장률도 종전 전망 2.6%보다 0.2% 낮은 2.4%로 내다봤다.
그러나, 이 같은 성장률도 달성할 수 있을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민간 경제연구소인 현대경제연구원은 최근 내년 경제성장률을 2.1%로 하향 조정했다.
LG경제연구원은 올해 2%, 내년에는 1.8%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와 내년 모두 1.9%, 한국금융연구원은 1.9%, 2.2%를 각각 제시했다.
한국은행과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성장률을 정부와 같은 수준인 2%로 봤지만, 내년 성장률은 2.3%로 예상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내년 2.3%, 국제통화기금(IMF)은 2.2%로 내다봤다.
정부는 한은과 KDI, IMF, OECD 등 주요 기관들의 전망치를 고려하고 여기에 ‘정책 의지’를 더해서 성장률을 잡았다고 했다.
한편, 올해 10.6%나 감소한 수출은 내년에는 3%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수입도 올해는 6.4% 감소하지만 내년에는 2.5%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이에 따라 경상수지 흑자는 올해 580억 달러에서 595억 달러로 소폭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설비투자도 올해 7.7% 감소에서 내년에는 5.2% 증가로 예상했다.
그러나 올해 4% 줄어든 건설투자는 내년에도 2.4%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민간소비 증가율은 올해 1.9%에서 내년 2.1%로 다소 회복될 것이라고 밝혔다.
0%대로 떨어져 ‘디플레’가 우려됐던 소비자물가상승률도 내년에는 1%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내년 취업자 증가 폭은 25만 명으로 올해 목표 28만 명보다 낮췄다.
하지만 15∼64세 고용률은 올해의 66.8%보다 높아진 67.1%를 나타내고, 실업률도 올해 3.8%보다 낮은 3.7%로 예상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