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당초의 2.4%에서 0.1%로 대폭 낮췄다.
취업자 증가폭도 ‘0’명으로 작년 수준의 고용을 유지하는 것으로 후퇴했다.
정부는 1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로 열린 비상경제회의에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을 확정하면서 올해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성장률 전망치를 ‘마이너스’로 잡지 않은 것은 추경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으로 역성장까지는 막겠다는 의지다.
그러나 정부는 코로나19 집단감염이 재확산되거나 겨울철 2차 대유행이 현실화할 경우 추가 하방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성장률이 더 낮아지는 ‘최악의 상황’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경제가 이같이 악화되면 ‘고용 충격’이 당연히 닥칠 수 있지만 일자리 지원 사업 등이 효과를 내면 취업자 증가폭은 ‘0명’으로 작년 수준은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정부는 내년에는 우리 경제가 3.6%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부문별로는 수출은 올해 8% 감소한 뒤 내년에는 8.5% 증가로 돌아설 것으로 예상했다.
수입도 올해 8.7% 감소 후 내년에는 9.2%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경상수지 흑자는 올해 580억 달러, 내년 560억 달러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올해 1.2% 감소한 뒤 내년 4.5% 증가로 반전할 것으로 추정했다.
설비투자는 올해 1.7% 증가하고 내년에는 6%로 증가폭이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건설투자는 올해 1% 감소하고 내년에도 0.5% 늘어나는데 그칠 것으로 봤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 증가 전망치를 '0명'으로 제시했다.
하지만 취업자 수가 제자리걸음을 하면 15∼64세 고용률은 지난해의 66.8%보다 낮은 66.4%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작년과 같은 0.4%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에는 1.2%로 예상했다.
이정선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bellykim@daum.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