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전자현미경으로 살아있는 세포 손상 없이 관찰 성공

글로벌이코노믹

KAIST, 전자현미경으로 살아있는 세포 손상 없이 관찰 성공

차세대 신소재 그래핀 이용 분자단위 고화질 실시간 관찰 가능해 코로나19 치료제 개발 '큰 힘'
KAIST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왼쪽)와 경북대학교 ITA융합대학원 한영기 교수. 사진=KAIST이미지 확대보기
KAIST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왼쪽)와 경북대학교 ITA융합대학원 한영기 교수. 사진=KAIST

국내 연구진이 살아있는 세포를 분자 수준으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총장 신성철) 신소재공학과 육종민 교수 연구팀과 경북대(총장 김상동) ITA 융합대학원 한영기 교수 연구팀은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세포를 살아있는 상태로 실시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고 29일 밝혔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은 수십∼수백 나노미터(㎚·100만분의 1㎜) 크기 바이러스로 인해 감염되는 질병이다.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는 이 같은 바이러스의 전이·감염 과정을 밝혀내야 하는데, 가시광선을 이용한 일반 광학현미경으로는 관찰이 어렵다.

그래핀 보호막 이용한 세포 관찰 기술 모식도. 사진=KAIST 이미지 확대보기
그래핀 보호막 이용한 세포 관찰 기술 모식도. 사진=KAIST


바이러스나 세포 내 기관 구조의 관찰을 위해 해상력이 높은 전자선을 이용한 전자현미경 기술이 사용되고 있지만, 에너지가 높은 전자선을 쓰기 때문에 세포가 구조적으로 손상될 수밖에 없다는 한계가 있다.

현재는 극저온 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고정 후 안정화 작업을 거친 표본만 관찰할 수 있다.

연구팀은 0.2 나노미터 두께의 그래핀(흑연의 한 층에서 떼어낸 2차원 물질) 박막으로 세포를 보호, 세포가 살아있는 상태에서 분자 단위로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육종민 교수는 "세포보다도 작은 단백질이나 DNA를 실시간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는 연구도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나노 레터스'(Nano Letters) 이달 호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최영운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young@g-e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