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글로벌이코노믹

미국 텍사스·뉴욕주(州) 삼성 반도체 유치전(戰) ‘후끈’

공유
4

미국 텍사스·뉴욕주(州) 삼성 반도체 유치전(戰) ‘후끈’

삼성, 미국 텍사스주(州) 오스틴 시의회로부터 용도변경 승인 받아...올해 착공해 2023년까지 진행

미국 텍사스 오스틴 반도체공장. 사진=갈무리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텍사스 오스틴 반도체공장. 사진=갈무리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법정구속되는 상황에서 미국은 업계는 물론 정계까지 나서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유치하려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심지어 미국에서 삼성전자 이름을 붙인 도로까지 만들어주고 있다. 이는 한국에서 쉽게 보기 힘든 광경이다. 이와같이 기업 편의를 고려해주고 투자를 유치하려는 모습에 국내보다는 해외로 투자행렬에 나설 수 밖에 없다. "(재계 관계자 A씨)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가 미국 텍사스 오스틴 시(市)의회로부터 오스틴 공장 인근 도로 재배치 승인을 받았다. 이에 따라 삼성전자가 첨단 3 나노미터(㎚·1㎚는 10억분의 1m) 반도체 공장을 텍사스 오스틴으로 낙점한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소식이 사실이라면 삼성전자의 국내공장 신설 등 투자가 후순위로 밀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텍사스주 지역 경제신문 오스틴 비즈니스 저널은 삼성전자가 오스틴 시의회로부터 오스틴 반도체 공장 인근에 있는 삼성로(路) (Samsung Boulevard) 재배치 공사 승인을 받았다고 지난달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삼성로'는 삼성전자가 1998년 오스틴에 공장을 준공하고 사업을 확대하자 오스틴 시가 이를 기념하기 위해 공장 주변 도로 지명을 바꾸면서 나온 이름이다.

삼성전자는 2018년부터 지난해 10월까지 오스틴에 축구장 140개를 합친 면적인 30만평 이상 토지를 꾸준히 매입했다. 오스틴 시 위원회는 이날 회의를 통해 삼성이 최근 구입한 토지 동쪽 경계를 따라 주요 도로를 재건설할 수 있도록 두 개 통행권을 비워 달라는 요청을 수용했다.

미셀 글레이즈 삼성전자 오스틴 반도체 사업장(SAS) 커뮤니케이션 업무 담당 이사는 “반도체 공장 추가 투자 결정에 관한 회사의 결정은 최종 결정은 아직 없다”면서도 “비즈니스 의사 결정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한 회사의 전략적 계획의 하나”라고 밝혔다. 오스틴 반도체 공장 공사는 올해 착공해 2023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또한 오스틴 공장 외에 애리조나주, 뉴욕주 등에 반도체 공장을 짓기 위해 170억 달러(약 19조 원)을 투자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는 외신 보도도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한진만 삼성전자 메모리 사업부 부사장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 특성상 고객 수요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해외공장 생산 능력을 늘리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오스틴 시당국 뿐만 아니라 미국내 유력 정치인도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 유치에 발벗고 나섰다.

척 슈머 미국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 뉴욕주에 삼성전자 반도체 공장을 유치하기 위해 발 빠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슈머 원내대표는 최근 삼성전자 고위 관계자들과 만나 뉴욕주 제네시 카운티에 반도체 공장을 짓는 방안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제네시 카운티에 반도체 공장을 유치하면 약 2000명에 달하는 새 일자리가 생겨 이 지역의 '게임 체인저(Game Changer: 판도를 바꾸는 놀라운 일)'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업계 관계자 B씨는 "삼성전자의 대규모 미국내 반도체 투자 소식이 쏟아지고 있지만 한국내 반도체 공장 증설 등 새로운 소식은 아직 없다"고 설명했다.

B씨는 또 "삼성전자의 미국 반도체 공장 대규모 투자가 삼성전자가 국내를 외면하고 해외로 사업비중을 늘리는 것은 아니다"라며 "그러나 삼성 총수가 구속 수감되는 영어(囹圄)의 몸이 된 상황에서 국내 투자에 의욕을 보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삼성전자 관계자는 "삼성전자가 오스틴 공장 증설에 대비해 지난해 12월 공장 인근에 매입해둔 부지에 대한 용도변경을 마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그러나 미국 투자에 대한 최종 결정은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고 말했다.


한현주 글로벌이코노믹 기자 kamsa0912@g-enews.com